개성공단 입주기업의 10곳 중 8곳은 '제2 개성공단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개성공단 가동 10주년을 맞이해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결과 개성공단과 같은 북한지역 내 경협모델 확산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2.2%에 달했다.
또 개성공단 입주에 만족하는 기업인은 57.1%로 집계됐다. 개성공단의 장점으로는 △값싼 인건비(61.5%) △인력난 해소(15.4%) 등의 비중이 높았다.
단점으로는 △임금 등 노무관련 북한의 일방적 요구(38.1%) △인력수급 곤란(23.8%) △공단 운영안정성 부족(19.0%) 등이 꼽혔다.
한편, 지난해 개성공단 가동중단 사태로 입주기업의 67.9%가 매출감소, 자금사정 악화 등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영여건이 악화된 이유로는 △국내수요 감소(34.9%, 복수응답) △자금조달 곤란(25.6%) △거래선 이탈(20.9%) △인력부족(9.3%) 순으로 응답했다.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개성공단의 현안으로는 △공단의 운영안정성 담보(23.8%, 복수응답) △5.24조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개성공단 가동중단 사태이후 아직 경영난을 겪는 입주 기업들이 많다"며 "개성공단 활성화 및 입주기업의 운영안정을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영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