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률 세계 최저 수준'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이 세계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은 4.5%로 1년 전 3.4%보다 1.1%포인트 높아졌다. 일시적으로 높아지긴 했지만 가계저축률은 지난 2001년 이후 5%를 넘은 경우가 2004년(8.4%)과 2005년(6.5%) 두 차례에 불과하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7%로 정점을 찍은 이후 1990년대 평균 16.1%를 기록하며 하락하기 시작했다. 2001년부터는 4.8%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치를 밑돌고 있다.
2011년 기준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3.4%로 OECD 평균인 5.3%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9~13% 수준인 독일·프랑스·스위스 등 주요 유럽 국가를 비롯해 미국(4.2%)보다도 낮은 수치다.
수익구조가 다각화된 외국 은행들과 달리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를 통해 수익의 대부분을 유지하는 국내 은행들은 저금리가 본격화한 후 예·적금 유치에 무관심한 상황이다. 실제로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은 최근 예·적금에 붙는 우대금리를 대폭 축소했다.
가계저축률 하락의 구조적인 요인으로는 가처분소득 증가율 정체·인구고령화에 따른 피부양인구 증가·부동산가격 상승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확대·저금리 기조 등이 꼽힌다.
이 가운데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둔화로 가계가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감소한 게 주 요인으로 지목된다. 연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1990년대 10%대를 상회하는 증가율을 보였지만 2000년대 들어서는 5% 내외로 하락했다.
금리 하락으로 저축에 대한 유인이 줄어든 것도 주요 요인이다. 실질금리는 1990년대 연 10%대에 육박했지만 2011년 0.41%, 2012년 1.57%까지 하락했다. 정기예금 금리가 연 2%대 초반까지 떨어진 올해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수준까지 떨어졌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가계저축률 급락과 파급 영향' 보고서를 통해 "가계저축률이 1%포인트 하락할 때 투자는 0.25%포인트, 경제성장률은 0.19%포인트 각각 하락한다"고 분석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가계저축률 하락 추세가 지속되면 투자와 경제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노후 소득보장 문제도 심각해질 수 있다"며 "저축률을 높
저축률 세계 최저 수준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저축률 세계 최저 수준, 저축할 돈이 없다" "저축률 세계 최저 수준, 씁쓸한 현실이네" "저축률 세계 최저 수준, 문제가 있는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