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은 강력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건강한 사람도 암에 걸리지 않기 위해선 금연이 필수다. 충격적이게도 흡연자 중 절반 이상이 암 진단을 받은 후에도 흡연을 계속 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박현아 교수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암 환자 650명을 한국인 전체 인구 가중치를 부여해 분석한 결과, 흡연자 중 53%가 암 진단을 받은 후에도 계속 흡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하루 평균 흡연량은 14.5 개비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앞으로도 담배를 끊을 생각이 없다는 것이다. 흡연자 중 1개월 내 금연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22.6%, 6개월 내 금연계획은 2.8%, 6개월 이후 금연계획은 40.2%로 조사됐지만, 금연계획이 없다는 환자가 무려 34.3%로 1/3 이상 계속 흡연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박현아 교수는 "암 진단자에서 흡연은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와 같은 암 치료를 방해할 뿐 아니라 암 환자의 재발율을 높여 사망률을 높이며 2차 암의 발생률도 높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금연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암 진단 후 담배를 끊지 못하는 흡연자는 남성이 14.5%로 여성(4.2%)보다 3배 이상 높았으며 소득수준 상위 25%보다 하위 25%에서 4배가량 흡연율이 높았다.
또한 오히려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한 환자의 흡연율이 9.1%로 건강상태를 좋다고 인지한 환자(4.2%)보다 2배 이상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암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자포자기한 심리상태로 흡연하거나 흡연이 건강에 나쁘다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흡연자 스스로 건강상태를 낮게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흡연을 계속할 확률이 5.5배 높게 나타나 가족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형편이다.
문제는 또 있다. 폐암, 구강암, 후두암, 인두암, 식도암 등 흡연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암 환자 흡연율이 9.8%로 관련 없는 암 환자(4%) 보다 2.3배 가량 높아 생존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암 종별 흡연율은 간암환자가 16.7%로 가장 높았고, 위암 14%, 대장암 13.3%, 요로계암 12.1%였으며 여성암 중에서는 자궁경부암이 5.9%로 가장 높았다.
암 생존자 전체 흡연율은 7.8%로 서양의 암 생존자 흡연율인 15~32%보다 낮았지만 이는 암 생존자 중에서 여성이 많고 우리나라는 유교 영향으로 여성흡연율이 서양보다 매우 낮기 때문에 암 진단 후 금연율은 서양과 유사하게 50%도 안되는 실정이다.
박현아 교수는 "암 환자의 금연율이 낮은 이유는 암 진단 후 암 치료에 급급해 암 치료와 연계된 금연치료를 실시하지 않으며 아직은 금연치료가 의료 급여화되어 있지 않아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