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위장관외과 송교영, 박조현 교수와 혈관이식외과 김지일 교수팀이 우리나라 위암수술 환자와 정맥혈전색전증 관계를 구별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구체적 발생빈도 통계 및 예방 권고안 없는 우리나라의 첫 보고 사례다.
정맥혈전색전증은 흔히 비행기 여행중 좁은 좌석에 장시간 앉아 혈전이 발생한다고 해서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 불리는 심부정맥혈전증과 폐동맥색전증을 합쳐 일컫는 질환이다. 대부분 암 환자들에게는 심한 혈액응고가 발생하며 일반인에 비해 색전증 발생률이 6배높아 색전증 위험인자인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 호르몬 치료가 실시되고 운동을 제한하면 환자가 더욱 위험해질 수 있다.
따라서 미국 암학회에서는 수술이나 화학요법을 요하거나 장기간 병상에 누워있어야하는 암 환자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함을 권고한다.
송 교수팀은 682명의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간헐적 공기 압박법만 사용한 환자군과 헤파린을 같이 사용한 환자군으로 나눠 혈전증 발생빈도 및 합병증을 조사했다. 그 결과 220명 중 3명의 환자에서 색전증이 발견되었는데 모두 간헐적 공기 압박기를 사용한 환자였으며 증상없이 하지정맥초음파에서만 발견됐다. 또한 12명은 수술 도중과 후에 출혈소견이 발견되었는데 이중 11명이 헤파린을 복용한 환자로 밝혀졌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