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출처 : MBN> |
지난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판되는 치약의 60% 이상이 국내외 다양한 연구에서 인체유해성분으로 판정 받은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이 포함된 제품인 것으로 드러나 문제점으로 지적받았다.
식약처는 "치약의 보존제로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의 경우 함량기준을 0.2% 이하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EU, 일본(0.4% 이하), 미국(기준없음) 등과 비교해 국제적으로 가장 엄격하다"고 해명했다.
이어 "다만 현재까지 허가된 치약제품 1300여 품목의 자료를 김 의원실에 제출하면서 그중 2개 품목에 대해 파라벤 함량을 잘못 기재했다"며 "일부 언론에서 '파라벤 기준을 초과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는 보도는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식약처는 이번 사건과 관련, 담당 국장을 경고하고 자료 제출자를 징계 위원회에 회부해 엄중 문책할 예정이다.
한편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은 암 발병률을 높
파라벤 치약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파라벤 치약, 다행이다" "파라벤 치약, 걱정 안 해도 되는건가?" "파라벤 치약, 무서워" 등의 반응을 보였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