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수도권에 준공을 마친 상가 모습. 도로변에 역세권 입지를 갖췄으나 공실이 즐비하다. |
# 얼마 전 수도권에 소재한 모 상가 시행사 대표자로부터 전화 한통이 걸려왔다. 상가 분양과 임대에 관한 문의 전화였다.
일단 몇 가지 현장 관련 사항을 들은 후 다음날 실사에 들어갔다. 겉으로 봐서는 제법 그럴듯했다. 역세권(도로변)인데다 상대적으로 경기 부침에 강한 학생수요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상가는 이런 입지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실이 많았다. 왜 그럴까.
이미 준공을 마친 이 상가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었다. 지하철 개통을 앞두고 일대는 공사판을 방불케 했다. 또 임대료가 저렴한 인근 단독주택지 내 상권이 활성화되어 적지 않은 유동인구를 뺏기고 있었다.
물론 지하철이 개통되면 상권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발업자 입장에서는 유동성 확보(자금 확보) 차원에서 분양률 제고가 시급할 수밖에 없다.
요즘 상가 투자자들은 그 동안의 투자 노하우(?)를 바탕으로 엔간하면 공실상가를 매입하려 들지 않는다. 땅만 파면 팔리는 시대는 끝난지 오래다. 신규로 공급하는 상가들이 분양과 동시 임차인(임대)을 찾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미 준공했거나 준공을 앞둔 상가들은 호기가 오기를 마냥 기다리고 있어야 할까.
쥐구멍에도 볕들 날 있다. 주구장창 기다리기만 한다면 개발업체의 열에 아홉은 자금난에 도산하거나 ‘울며 겨자먹기’로 헐값에 상가를 넘겨야할 처지에 놓이게 될 공산이 크다.
때문에 개발업체는 우선 상권의 직접 수요자 등을 겨냥한 업종을 정리해 적극적인 유치에 나서야 한다. 굳이 많은 분양사들을 고용하기보다는 임대 전문 인력(1~2인)이 현장에 상주해 우량 세입자(key-tenant)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
또 유명 프랜차이즈 업체를 발굴하거나 주변 중개업소와의 협업을 통해 선임대 후분양에 주력해야 한다. 아울러 역 개통 전이라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중·장기 ‘렌탈프리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분양상품은 통상 초기 분양률을 높이지 못하면 갈수록 고전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로 분양(또는
무엇보다 계획 당시보다 사업성이 떨어지더라도 현실을 직시하고 약점을 인정함과 동시에 투자자와 임차인에게 납득할만한 보상 마케팅을 과감히 전개하는 결단이 필요하다.
[자문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 소장 / 정리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