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크루거 프린스턴대 교수은 25일 "양적완화 축소가 신흥국에 별다른 악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크루거 교수는 '대한민국 재창조, 위대한 성장'을 주제로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MBN포럼 2014'에서 패널로 참석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 여름부터 양적완화를 축소하겠다는 발언을 해왔기 때문에 실제로 테이퍼링이 시작됐음에도 금융시장은 견고한 모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크루거 교수는 이코노미지에서 선정한 50대 경제학자중의 한 명으로 노동경제학 분야의 대가로 꼽힌다. 오바마 정책 입안과정에서도 개입했고 최근까지 백악관의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그는 양적완화 정책이 미국경제, 특히 주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으며 이제는 극적인 양적완화 정책의 속도를 늦출 때가 됐다고 분석했다.
최근 양적완화 축소 이후로 신흥국의 위기설이 불거지는 데 대해 그는 "신흥국가, 특히 금융시스템에서 자본 확충을 잘한 국가로는 여전히 투자가 유입돼 혜택을 보고 있다"면서 "극적인 경기부양책에서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변동성이 있어, 가야할 길이 탄탄하지만은 않다"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 경제가 해결해야 될 점으로 무역 확대와 함께 창조성 증진, 고령화 문제, 여성노동 확대, 서비스 산업 확대 등을 꼽았다.
크루거 교수는 향후 2년 정도 미국 금리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며 연준도 매입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해 자산가치의 변동이 적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크루거 교수는 "한국은 대단한 속도로 변화를 겪었지만 앞으로의 도약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국은 내수 규모가 비교적 작은 편이어서 무역 확대가 중요한데 한미FTA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어떤 OECD 국가보다도 빠른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다"며 "고령화 문제는 노동력 문제에서 분명히 문제가 될텐데 여성 노동력이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루거 교수는 한국경제가 미국과 일본에서 배울 점이 있다고 조언했다.
크루거 교수는 "지금의 미국을 만든 건 이주자들로서 이주정책 완화가 필요하다"라며 "이주정책은 인구통계학적 문제에서 해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이주자들을 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지금 일본은 쓸 수 있는 모든 무기를 사용해 경기 부양을 위해 노력한다"라며 "이런 점도 배워야 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 경제에 대해 회복되고 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그는 "미국의 금융기관들이 탄탄해졌고 주택시장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라면서 "가계적자, 무역적자, 일자리 부족 등을 해결해야 하며 특히 중산층이 얻을 수 있는 일자리가 적다는 게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매경닷컴 고득관 기자 / 박인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