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남은행에 대해 본격적인 매각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때아닌 지역감정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경남은행을 대구나 부산에서 인수하는 것은 자존심이 상한다는 것입니다.
어찌 된 사정인지, 강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금으로부터 43년 전인 지난 1970년 '1도 1은행' 원칙에 따라 경남은행이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 이후 약 3천500억 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돼 우리금융지주에 편입됐고,
10여 년이 지난 지금, 국민 세금 회수를 위해 정부는 경남은행 매각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그런데 상황이 묘합니다.
지원자가 4곳인데 대구은행을 자회사로 둔 DGB금융지주, 부산은행의 모회사 BS금융지주, 경남·울산 상공인이 주축이 된 '경은사랑 컨소시엄'. 그리고 기업은행까지.
화면에 보시는 것처럼 이른바 TK와 PK가 지역정서를 앞세워 첨예한 갈등 상황을 연출하는데다, PK 내에서도 경남과 부산지역 간 경쟁심리가 만만치 않습니다.
경은사랑에 주자니 자금력이 부족해 최고가 입찰 원칙을 지키기 어렵다는 점이 부담입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홍준표 경남지사는 "경남은행이 도민 품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거들고 나서 정치적 이슈로 부상할 조짐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업은행 인수설이 솔솔 흘러나오는데, 이는 민영화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결국, 누구를 선택하든 논란에 휩싸일 수밖에 없어 금융당국의 고심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강영구입니다. [ilov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