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에 대규모 텃밭을 조성하겠다는 서울시 계획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위법이다" "아니다", 국토부와 서울시가 공방을 벌이고 있는데요.
공원과 텃밭, 어떤 게 정말 시민들을 위한 것일까요?
김경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한강 이촌지구 일대.
자전거 도로를 따라 9,000m²규모의 넓은 밭이 조성돼 있습니다.
▶ 스탠딩 : 김경기 / 기자
- "서울시는 시민들이 직접 채소를 재배하는 등 도시 농업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이곳에 텃밭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장을 한 달도 안 남긴 지난달 말, 국토해양부가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한강공원은 시민 모두의 것인 만큼 개인에게 독점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없고, 수질 오염 우려도 있다며 중단 명령을 내린 겁니다.
▶ 인터뷰(☎)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관계자
- "서울시가 일반 개인에게 분양 형태로 경작권을 주는 것은 하천법 자체를 위배하는 행위…."
그러자 서울시는 긴급 브리핑을 갖고 국토부 주장을 정면 반박했습니다.
영농 목적이 아닌 만큼 하천법 위반이 아니며, 친환경 비료만 사용할 예정이어서 환경오염 문제도 없다는 주장입니다.
▶ 인터뷰 : 최임광 / 서울시 한강사업본부장
- "이에 서울시에서는 국토해양부가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친환경·무공해 한강 텃밭 생태 프로그램에 대한 중단 명령을 재고해주기를 요청한다."
한강공원 텃밭은 오는 14일 개장될 예정인 가운데, 어떤 것이 진정 서울시민을 위한 것인지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MBN뉴스 김경기입니다. [ goldgame@mbn.co.kr ]
영상취재 : 최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