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재계는 정부 방침에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무엇보다 그 피해는 노동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김태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휴일근무를 연장근로에 포함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대해 재계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재계의 가장 큰 고민은 채용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데 있습니다.
자동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산업계에 휴일근무가 일반화된 상황에서 휴일근무가 연장근로에 포함되면 휴일근무를 하는 인력만큼 채용을 더 해야 합니다.
▶ 인터뷰 : 이동응 /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 "휴일특근을 없애게 되면 이단 생산라인을 더 늘려 인력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들로서는 상당히 부담이 될 수 있고요…."
그러면서 기업뿐 아니라 수입의 최대 3분의 1이 깎이는 근로자들도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재계는 지금 있는 인력을 갖고 탄력적 근로시간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도 개선이 선행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스탠딩 : 김태일 / 기자
- "휴일근무 정책을 놓고 재계가 강력하게 반발함에 따라 정책 도입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됩니다. MBN뉴스 김태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