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공무원들에게 물가를 직접 챙기라고 지시했습니다.
이른바 '물가 실명제'를 도입하라는 뜻인데, 의욕은 좋지만, 효력이 있을지는 미지숩니다.
최인제 기잡니다.
【 기자 】
서울 충무로 인근 식당의 김치전골 가격은 5천5백 원,
3년 전 가격 그대로지만 주변 가게를 의식해 올릴 엄두를 못 냅니다.
▶ 인터뷰 : 양영자 / 식당 주인
- "모든 재료가 다 올랐습니다. 5천5백 원에 팔면 남는 게 하나도 없습니다."
가격 인상에 대한 고민은 도처에 널려 있습니다.
▶ 스탠딩 : 최인제 / 기자
- "실제로 지난달 충북지역의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5.2%, 울산이 3.9% 오르는 등 지방을 시작으로 외식비가 차츰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제 기름 값이 불안한 가운데 밀가루와 설탕 인상설이 나돌고, 맥주와 두부는 시기만 남은 상황.
연초부터 물가가 심상치 않자 이명박 대통령은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공무원이 품목별 목표를 정해 관리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제일 중요한 게 물가라고 보니까 이 물가 문제를 공직자가 공직을 걸고 이것은 하자, 물가에 대한 책임실명제를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실효성이 있을 진 의문입니다.
이미 52개 품목을 지정해 특별 관리했지만 지난 3년간 22%나 상승했습니다.
▶ 인터뷰 : 안순권 /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물가안정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기상이변과 해외발 공급 충격이 재발할 경우 물가관리에 한계를 드러낼 것입니다."
따라서 단순 지표로평가하기보다는 유통구조 개선과 공급 확대라는 구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MBN뉴스 최인제입니다. [ copus@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