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후순위채 피해자 구제 결과를 다음 주에 발표합니다.
1차 영업정지 저축은행 피해자 가운데 1,200여 건을 심사 중이데, 앞으로 후순위채 구제 기준을 정하는 것이어서 관심이 많습니다.
이혁준 기자입니다.
【 기자 】
부산저축은행 후순위채권 투자 피해자들이 금융감독원을 항의 방문했습니다.
피해자들은 후순위채 피해 구제 심사가 늦어지는 데 대해 답답함을 호소합니다.
▶ 인터뷰 : 이홍권 / 부산저축은행 후순위채 피해자모임 대표
- "후순위채권 때문에 노인 한 분은 돌아가셨고, 서민층이 고생하고 있습니다. 차일피일 미루고 국가는 책임이 없다고 합니다."
후순위채 피해 구제를 심사하는 분쟁조정위원회가 지난 11일 열렸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금감원은 법률 검토를 보완해 다음 주에 구제 결과를 발표한다는 입장이지만, 얼마나 구제할 수 있을지는 밝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권혁세 / 금융감독원장
- "조정위원회에서 잘 논의하고 있는데, 몇 퍼센트를 구제할진 잘 모르겠습니다."
14일 기준 후순위채 피해 접수는 모두 3,879건으로, 2차 영업정지 저축은행의 피해 신고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저축은행이 후순위채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습니다.
한 투자자는 토마토저축은행 지점장이 직접 VIP 우대라며 기존 적금을 해약시키고 후순위채 2억 원어치를 사게 하면서 적금과 같은 상품이라고 속였다고 분통을 터트립니다.
▶ 인터뷰 : 후순위채 피해자 (음성변조)
- "이 돈을 모으느라 절약하고 살았는데, 그 돈을 하루아침에 지점장 말에 다 날아갔다는 게…. 이것을 묵인한 금융당국뿐 아니라 저축은행을 키운 정부도 너무 밉습니다."
두 차례에 걸친 경영평가 결과 저축은행의 BIS 비율이 엉터리였다는 사실이 드러나 금감원도 감독 책임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후순위채 피해 구제를 앞둔 분쟁조정위원회의 고민이 깊은 이유입니다.
MBN뉴스 이혁준입니다. [ gitania@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