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안성관 교수가 주도한 연구진은 같은 간암 환자라 하더라도 '하데스'의 양이 적은 사람은 방사선 치료 효과가 높고 재발할 우려도 낮지만, 하데스의 양이 많은 사람은 방사선 치료도 어렵고 재발 위험도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방사선 치료는 암 억제유전자인 p53의 기능이 억제되면서 치료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고 알려져 왔는데, 연구진은 '하데스'가 p53의 기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안 교수는 '하데스' 발견으로 항암 치료 효과도 높이면서, 암 재발 위험도 낮추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기초의학 분야 '세포 사멸과 분화' 학술지 인터넷판에 게재됐습니다.
[ 김형오 / hokim@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