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력한 의지에도 공기업의 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4대강 사업과 에너지 요금 동결로 공기업의 자산 건전성이 악화하면서 국가 재정 건전성 훼손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황승택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정부가 취임 초 야심 차게 꺼내 든 공기업 선진화방안.
중복된 부서와 조직을 통폐합하고 경영합리화를 강조했지만, 공기업 부채는 오히려 급증했습니다.
지난해 공기업 부채는 237조 원으로 한 해 동안 무려 34조 원 넘게 불어났습니다.
2007년 103%에 불과하던 공기업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157.4%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50%대를 넘어섰습니다.
4대강 사업과 보금자리주택, 혁신도시 등 국책 사업과 에너지 가격동결 등에 따라 공기업의 부채가 급증한 겁니다.
한국전력은 지난해 614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비롯해 3년 동안 3조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4대강 사업에 나선 수자원공사는 역시 지난해 부채가 7조 9천억 원 165% 급증했지만, 자산은 18조 4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39%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공기업의 부채가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재정 건전성도 훼손할 수 있다는 겁니다.
내년부터 일부 공기업의 부채는 국가 부채에 포함됩니다.
MBN뉴스 황승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