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면서 매몰처분 대상 가축이 1백만 마리를 넘어섰습니다.
지금까지 134건의 구제역 신고가 접수됐는데, 조류인플루엔자 AI도 확산할 조짐을 보여 방역이 한계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정석 기자.
【 기자 】
예, 농림수산식품부에 나와있습니다.
【 앵커멘트 】
구제역으로 매몰처분해야할 가축이 1백만 마리가 넘었다죠?
【 기자 】
그렇습니다. 구제역으로 매몰처분해야 할 가축이 1백만 마리를 넘어섰습니다.
구제역이 발생한 지 41일 만입니다.
지금까지 매몰처분된 가축은 89만 마리로 전체 매몰 대상의 84%에 달합니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우제류 1천5백만 마리의 15분의 1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금까지 134건의 구제역 신고가 들어왔으며, 이 가운데 95건이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방역 당국은 구제역이 확산함에 따라 지난달 25일 돼지에게도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습니다.
이제 남은 건 백신 효과가 언제 나타나느냐 입니다.
통상 백신을 접종하면 2주일이 지나야 효과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먼저 백신접종이 시작된 소의 경우 이번 주말 이후에도 계속해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예방접종은 물론 차단 방역이 실패한 것으로 봐야 합니다.
돼지는 오늘(7일)부터 백신을 접종하기 때문에 앞으로 2주를 더 기다려 봐야 합니다.
여기에 조류인플루엔자 AI도 잇따라 고병원성으로 확진판정나면서 방역 당국을 더욱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전남 영암군 시종면 오리농가에서 의심신고된 AI가 고병원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29일 전북과 충남 가금류 농장 두 곳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데 이어 지금까지 전남에서만 7건의 AI 신고가 접수됐고 이중 한 곳에서 확진판정이 내려진 겁니다.
따라서, 나머지 신고된 AI 의심증상이 고병원성으로 판정되고, 구제역이 이번 주말을 넘겨서도 계속 전파된다면, 현재의 방역 시스템은 무용지물이 됩니다.
사상초유의 바이러스 대란이 벌어지는 셈입니다.
지금까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MBN뉴스 이정석입니다.
▶ 매일매일 팡팡! 대박 세일! 소셜커머스 '엠팡(mpang.mbn.co.kr)' 오픈
▶ <코스피 2500p 향하여>상상 그 이상의 수익률, 눈으로 직접 확인하세요! 'MBN리치'
< Copyright ⓒ mbn(mb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