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무명(無名)-정신의 위치, the position of Being Nameless, 212x10x15cm(좌) 212x10x16cm(우), coloring on the wood, 2019 [사진 제공 = 아트스페이스3] |
습도나 온도에 예민한 나무로 조각하는 나점수 작가(56)의 작품 '무명(無名)-정신의 위치'(2020)다. 작가는 작품 재료가 될 나무들을 경기도 양평 작업실에 야적하고 1년을 지켜본다. 어느날 문득 나무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쩍 갈라진 나무는 여름 장맛비와 겨울 눈을 거치고 벌레의 집도 되는 등 계절의 변화를 품었다. 그 시간을 어떻게 제시할까 작가는 고민했다. 그 산물인 목조각 20여점을 모은 개인전 '무명(無名)-정신의 위치'가 16일까지 서울 종로구 통의동 아트스페이스3에서 열린다.
![]() |
↑ 무명(無名)-정신의 위치, the position of Being Nameless, 53x30x20cm, coloring on the wood, 2020 [사진 제공 = 아트스페이스3] |
층고가 높은 전시장에 어색할 정도로 낮게 걸린 조각들은 관람객들 눈높이에 맞춰 작품을 감상하게 한다. 나무를 가늘고 길게 파내 어둠의 공간을 만든, 수직 이미지가 압도적이다. 조각 거장 알베르토 자코메티 작품도 연상시킨다. 작가도 조각에서 존재의 근원을 찾고 있다고 했다.
![]() |
↑ 무명(無名)_정신의 위치, the position of Being Nameless, 255x35x16cm, coloring on the wood, 2022 [사진 제공 = 아트스페이스3] |
길쭉하게 패인 홈은 나무 표면에 선으로 그어진 형상이 아니다. 먼저 홈을 파낸 뒤 홈의 양쪽 면을 깎아 패인 공간의 입체감을 드러낸다. 양쪽 면의 두께는 목재의 수축과 팽창을 고려해 작품이 변형되지 않는 최소한의 범위다. 20년 이상 목조각에 전념했기에 그 뒤틀림은 예측가능하다.
![]() |
↑ 나점수 작가 [이한나 기자] |
![]() |
↑ 나점수 작가 [이한나 기자] |
이번 전시에서는 마치 단색화의 입체 버전처럼 벽에 액자처럼 걸린 조각들도 함께 제시됐다. 고즈넉히 머무는 공
작가는 중앙대학교 조소과 학·석사를 마치고 1998년 중앙미술대전 특성 등을 수상했다. 지난 2016년에는 김종영미술관에서 올해의 작가로 뽑혀 전시한 바 있다. 작가 작품은 장욱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포항미술관 등에 소장돼 있다.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