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송나라 문헌 '삼례도'∙'고려도경'에 나오는 유물
![]() |
↑ '용인 서리 고려 백자 요지' 왕실 제기 보와 궤가 발견됐다. / 사진 = 연합뉴스 |
경기도 용인의 고려시대 가마터에서 1천 년 전쯤 만든 왕실 제기(祭器·제사 관련 그릇이나 도구)로 추정되는 도자기 수십 점이 무더기로 발견됐습니다.
용인시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서경문화재연구원(원장 임영호)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335-1번지의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용인 서리 고려 백자 요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사지 북쪽 건물터 외곽의 구덩이로 보이는 장소에서 왕실 백자 제기 약 30점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서경문화재연구원은 고려시대 유적에서 이처럼 온전한 형태의 제기가 다량 출토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제작 시기는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반 사이로 추정됩니다. 제기 높이는 30~34cm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유물은 중국 송나라 때 문헌인 '삼례도'와 '고려도경'에서 확인되는 보와 궤입니다.
![]() |
↑ 백자 제기. / 사진 = 연합뉴스 |
보는 벼와 조를 담는 그릇입니다. 바깥은 네모지고 안쪽은 둥근 형태입니다. 궤는 기장을 담는 그릇으로, 보와 반대로 바깥쪽이 둥글고 안쪽이 사각형입니다.
또 가마 안에서 도자기에 불길이 직접 닿지 않도록 씌우는 큰 그릇인 갑발이 나왔습니다.
서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고려 도자는 물론 왕실 통치철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며 "유교 이념으로 국가를 통치한 고려 왕실은 제사를 지낼 때 도자 제기를 사용했고, 1059년에는 '제기도감'이라는 관청을 설치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가마터에서는 대부분 도자기 파편이 발견되고, 파손되지 않은 그릇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며 "이번에 도자기가 모여 있던 장소 인근의 건물터는 관청이나 공방으로 짐작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사단은 형태가 온전한 제기를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고려시대 초기부터 백자를 생산한 가마터입니다. 이곳에선 벽돌로 지은 가마와 길이 83m의 진흙 가마 등이 발견됐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