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월성 서성벽에서 발견된 20대 여성 인골.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 경주 월성 서성벽에서 발견된 20대 여성 인골.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7일 이 인골이 성벽을 쌓는데 제물로 사용된 인신공희(人身供犧) 사례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인골 수습 당시 곡옥(반달 형태로 다듬은 옥) 모양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와 팔찌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말과 소 등 대형 포유류 늑골도 함께 발굴됐다.
김헌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무관은 "무덤이 아니라 성벽 기저부 조성층 바로 위에 인골이 위치해 있어 인신공희로 추정된다"며 "성벽을 쌓아 올리기 전에 견고하게 축조되길 바라는 인신공희가 거행됐음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 인골을 수습할 당시에는 키가 작아 미성년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정밀 조사 결과 성장판이 닫힌 성인으로 영양 상태가 부족해 골격이 왜소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김 주무관은 "생전에 힘든 시절을 보냈으며 신분이 낮아 성벽 제의에 희생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월성 서성벽 인신공희 지점.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월성 서성벽이 인신공희로 축조된 국내 유일 성벽으로 4세기 중엽부터 쌓기 시작해 5세기 초에 완공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축조 연대는 출토된 유물의 전수 조사와 더불어 탄소를 측정하는 가속질량분석기 연대 분석에 기반해 정확성을 높였다고 덧붙였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월성이 파사왕 22년(101년)에 축조된 것으로 기록됐지만, 실제 축조 연대보다 많이 앞당겨진 시기로 여겨져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주보돈 경북대 명예교수는 "4세기 중엽에는 사로국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을 병합해 신라 국가가 탄생하는 시기였다"며 "인신공희를 할 만큼 월성 축조에 많은 공력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월성 서성벽 조사구간 위치.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 월성 서성벽 단면 모습.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왕성 월성의 궁궐 배치와 성벽 축조 재료의 자연과학적 분석에 대한 조사·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