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제색도’ 앞 감상 의자에 앉으면 실제 인왕산 풍경이
28건의 국보와 보물 전시 눈길
↑ 사진 = 윤혜주 기자 |
이 기사는 기자의 전시 감상을 1인칭 시점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편>
요즘 BTS 콘서트 티케팅보다 어렵다는 ‘이건희 컬렉션’ 전시회 표가 기자 품에 안겼다. 분명 8월 말부터 전시 마감일인 9월 26일까지 ‘매진’이라는 글자가 줄지어 서 있었는데, 새로 고침을 한 번 눌렀더니 예약이 가능하다는 표시가 떴다. 오후 8시, 취소 표의 행운이 기자에게 찾아왔다. 전시회 입장은 무료. 하지만 코로나19로 제한된 인원만 입장 가능하기 때문에 무료입장으로까지 가는 길은 험난하다. 이 때문에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는 ‘이건희 컬렉션’ 입장 티켓이 무려 10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기도 하다. 수십 번의 시도 끝에 겨우 예매했다는 후기들을 보면 기자가 갖게 된 입장권은 행운 그 자체였다.
↑ 예매에 성공한 화면(왼), 전시 마지막 날인 9월 26일까지 입장권이 매진된 상태(오) / 사진 = 국립중앙박물관 캡처 |
전시 당일 도착한 국립중앙박물관은 고요했다. 전시 인원을 제한하고 있기도 했고, 가을장마 탓인 것 같기도 했다. ‘이건희 컬렉션’ 전시가 열리는 곳은 상설전시관 서화실Ⅱ. 미리 받은 QR코드 입장권을 제시하고, 공항 검색대와 똑같이 마련된 보안 검색대에서 소지품 검사를 한 뒤 입장할 수 있었다.
1층 입구 기둥에 웅장하게 붙은 ‘전시회를 알리는 포스터’. 이번 전시회의 공식 이름은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이다.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품목만 21,600점으로, 이 가운데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28건을 포함해 문화재 45건 77점이 이번 전시회를 통해 관람객을 만났다. 모두 시대와 분야를 대표하는 문화재다.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서화실Ⅱ 앞, 이건희 컬렉션을 보려고 모인 사람들 / 사진 = 윤혜주 기자 |
2만 여점이 넘는 문화재를 한 번에 모두 볼 수 없는 데는 이유가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특별전을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은 2곳인데, 2~3년 전부터 전시 일정이 잡혀 있기 때문에 ‘이건희 컬렉션’만을 위한 공간 사용은 불가능하다. 차선으로 선택한 곳이 바로 상설전시관 서화실Ⅱ다. 2층 서화실Ⅱ 입구에서 QR코드 입장권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사진 촬영은 가능하지만 플래시를 터뜨릴 수 없고, 재입장은 불가능하다는 설명을 듣고야 입장할 수 있었다.
↑ 국보 제 234호 '묘법연화경 권1-7', 염색한 고급 종이에 금과 은으로 불교 경전 내용을 옮겨 쓴 '사경'. / 사진 = 윤혜주 기자 |
이번 전시에서 가장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문화재답게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들어가는 입구부터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었다. 작품의 실물을 보기 전 맛보기 영상이랄까. 본격적으로 전시장에 들어서니 어둡게 밝기를 낮춘 조명 아래 작품들이 빛나고 있다. 하나같이 대중에 모습을 드러내고 싶어 하는 모습이다. 들어가자마자 기자를 반긴 건 ‘사경’이다. 사경은 염색한 고급 종이에 금과 은으로 불교 경전 내용을 옮겨 쓴 것이다. 마치 우리가 책을 읽다 좋은 글귀를 만나게 되면 필사를 하며 마음에 새기듯이, 고려시대 사람들은 공덕을 쌓기 위해 ‘사경’을 제작했다. 이번 전시회에 등장한 ‘사경’은 국보 제 234호로 지정된 ‘묘법연화경 권1-7’이다. 지방 행정관리뿐만 아니라 고려 왕실에서도 사경 제작을 후원했는데 ‘묘법연화경 권1-7’은 개인이 후원해 제작된 사경이다. 화려한 꽃무늬로 꾸며진 표지가 멀리서도 눈길을 끌었다.
↑ ‘월인석보 권17-18’(왼), ‘석보상절 권11’(오) / 사진 = 윤혜주 기자 |
그 옆으로는 높이 8.8cm ‘일광삼존상’부터 5등신에 가까운 32.3cm 통일신라 ‘부처’까지 총 6개의 불상이 온화한 미소를 지으며 나란히 서 있다. 교과서 속에서만 보던 익숙한 문화재가 기자 눈앞에 등장했다. 바로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다. ‘석보상절 권11’은 훈민정음으로 표기한 책으로 석가모니 부처의 일대기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ㆍ(아래아), ㅿ(반시옷), ㅸ(여린 비읍) 등 지금은 없어진 한글 발음과 글자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보물 제 523-3호이다. ‘석보상절’과 나란히 빛나고 있던 ‘월인석보 권17-18’은 ‘석보상절’과 세종이 노래 형식으로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합친 내용을 담고 있다.
어느 방향으로 바라보나 국보 아니면 보물들의 향연이 이어진다. 대부분 작품들이 TV와 책, 교과서에서만 봤던 ‘그 문화재’다. 관람객들이 한 걸음 디딜 때마다 “이 작품이 내 눈앞에? 와...” 라는 감탄사가 쏟아져 나왔다. 이번 전시회 안에 함께 있는 사람들의 마음은 다 똑같았을 것이다.
↑ 단원 김홍도의 '추성부도'를 확대해 찍은 장면.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에 놀란 선비가 동자에게 무슨 소니랴고 물으니, 동자가 나무 사이에서 나는 소리라 대답하는 장면. / 사진 = 윤혜주 기자 |
보물 제 1393호 ‘추성부도’는 단원 김홍도의 그림들 가운데 연도가 확인되는 마지막 작품이다. 앙상한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리는 쓸쓸한 풍경을 보고 있자니 김홍도의 당시 감정이 그대로 전해지는 듯했다.
↑ 국보 제 216호 정선의 인왕제색도. / 사진 = 윤혜주 기자 |
드디어 만난 정선의 ‘인왕제색도’. 사실 그렇게 큰 공간이 아니라서 전시 초입에 들어갔을 때부터 보이는 작품이다. 그런데도 바로 ‘인왕제색도’ 앞으로 달려가지 않은 이유는 딱 하나. 원본 작품을 만나기 전에 살짝 설레고 싶었기 때문이다.
처음 ‘인왕제색도’ 앞에 섰을 때는 눈에 너무나 익숙한 작품이라 그런지, 기자가 보고 있는 것이 교과서에 인쇄된 것인지 정말 실물인지 헷갈릴 정도였다. 넋 놓고 5분은 바라본 뒤에야 “와 이게 진짜 ‘인왕제색도’구나”라는 말이 나왔다. 그 앞에 마련된 단 한 개의 의자에 앉아 다시 한 번 의도적으로 넋을 놓았다. 작품 속에 빠져들고 싶었다. 정선이 묘사한 물기 머금은 바위들은 각각의 모양에 따라 ‘범바위’, ‘코끼리바위’, ‘기차바위’ 등으로 불린다. 가을장마가 이어지는 요즘, ‘인왕제색도’ 속 인왕산과 비슷한 느낌을 뿜을 듯한 현재의 인왕산에서 이 바위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았다.
시대와 분야를 대표하는 문화재들인 만큼 어느 하나도 쉽게 지나칠 수 없었다. 문화재 하나하나 앞에 서서 오디오 설명을 듣고 설명에 따라 꼼꼼히 살펴봤다. 한 번은 오른쪽 각도에서, 또 한 번은 발꿈치를 세워 위에서, 다 본 뒤에 다시 한 번 뒤돌아서.
↑ '봉업사'가 새겨진 향로(왼), '사복사'가 생겨진 향완(오). 모두 고려시대 향로. 향로는 불교의식에서 잡귀나 잡념을 없애려고 향을 피울 때 사용한다 / 사진 = 윤혜주 기자 |
잡념을 없애주는 것만 같은 고려시대 ‘향로’부터 700년이 지난 지금도 본연의 아름다움을 잃지 않은 ‘수월관음도’까지. 작품 하나도 빼놓지 않고 그 앞에서 여러 번 넋을 잃었다. 또 오래살고 싶은 옛 사람들의 마음을 담은 ‘십장생도 10폭 병풍’ 앞에서는 그 화려함을 담고 싶어 자연스레 휴대폰 사진기를 켠 내 모습을 발견했다.
↑ '십장생도 10폭 병풍'. 대표적인 십장생 해·산·물·돌·소나무·구름·불로초·거북·학·사슴에 대나무와 복숭아까지 더한 그림 / 사진 = 윤혜주 기자 |
학창시절 미술 교과를 공부할 때에는, 당장 배우고 있는 문화재가 어느 시대에 속하는지 외우기 바빴다. 정해진 시험 시간 내에 5개 선택지 가운데 다른 시기에 속하는 문화재 1개를 찾아내야만 내신 성적을 관리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이번 만큼은 문화재를 그 자체로만 바라볼 수 있어서 행복했다. 물론 공부를 했기에 익숙할 수 있었던 ‘청동 방울’, ‘청동기’, ‘붉은 간토기 항아리’ 등을 실제로 마주해서 신나기도 했지만 말이다.
국보와 보물로 둘러싸인 기분이 묘했다. 괜히 ‘작지만 강한 전시’라고 불리는 게 아니었다. 분명 기증품 가운데 극히 일부만 전시된 것임에도 감상평을 남기지 못한 작품들이 수두룩하다. ‘2022년도 예산안’에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과 관련, 대국민 공개 전시와 지역 특별전에 25억 원이 배정됐다고 하는데 얼마나 더 많은 교과서 속 작품들이 일반에 공개돼 눈을 사로잡을지 기대된다.
아, 특히 전시회를 나가기 직전에는 우리의 아쉬운 마음을 달래줄 ‘까치와 호랑이’ 작품이 마련돼 있으니 절대 놓치면 안 된다. 이 작품 또한 ‘우리가 봤던’ 바로 그 그림이다.
↑ '까치와 호랑이'. 영물이자 군자의 상징이었던 호랑이와 기쁜 소식을 전해주는 전령 까치가 함께 그려진 작품. / 사진 = 윤혜주 기자 |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