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문화재청은 16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이 금동신발과 더불어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에서 나온 금동신발 2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삼국 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상당수는 국보나 보물로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의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각각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신발은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로 5세기 백제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이며,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우리나라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금동신발은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 신발이 출토된 적이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다.
↑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사진 제공 = 문화재청] |
문화재청은 "이 금동신발은 5세기 후반께 제작돼 6세기 무령왕릉 출토 금동신발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공예품으로서, 5∼6세기 백제의 사상과 미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이라고 밝혔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2009년 4기의 대형 분구묘(墳丘墓, 봉분과 같은 분구를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만드는 무덤 양식) 중 규모가 가장 큰 1호분 제4호 석실에서 무덤 주인의 양쪽 발에 신겨진 상태로 발굴됐다. 전체적인 형태는 배 모양으로, 발목 깃을 갖췄고, 앞쪽은 뾰족하면서 약간 위로 들렸으며, 중간 바닥이 편평하고, 뒤쪽은 약간 좁아지면서 둥근 편이다. 투각(透刻, 재료 면을 도려내거나 깎아서 무늬를 만드는 방식)한 육각형 안에 용, 인면조신(人面鳥身, 사람얼굴에 새 몸통을 가진 상상의 동물), 쌍조문(雙鳥文, 두 마리 새 문양), 괴수(怪獸), 연꽃 등 각종 문양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신발 바닥에는 높이 1.7㎝의 뾰족한 못 18개를 규칙적으로 붙였고, 내부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했다.
문화재청은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과 비교할 때 물고기 알 문양 등 삼국 시대 초기 문양이 확인돼 시기적으로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