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탄소년단. [사진 제공 = 빅히트엔터테인먼트]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28일 발표한 '2021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0년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드라마, 예능, 게임 등 한류 콘텐츠 소비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 한류 소비자들은 주로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한류 콘텐츠를 접촉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한류 소비자들의 분야별 소비 비중은 드라마(29.7%), 미용(뷰티, 27.5%), 예능(26.9%), 패션(24.8%) 순으로 높았으며, 방송 콘텐츠와 연계가 쉬운 분야에서 소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한류 콘텐츠 분야는 예능(48.0%), 드라마(47.9%), 게임(45.8%)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로 물리적 이동이 어려워지면서 영상·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들의 소비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코로나19 이전 대비 소비량 증감.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 드라마와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등을 접하는 경로는 최근 5년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분야들은 전년 대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접촉비율이 모두 증가했다. 2020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접촉한 비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음악(82.0%)이었다.
↑ 선호 한국 드라마.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 호감도 분석에 더해 미래 소비 확대 가능성을 종합 고려하는 지표로 '브랜드 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를 도입했다. 현재 인기도와 미래 잠재력 지수를 각각 50% 가중치를 적용해 100점으로 환산한 지수다. 산출 결과 주로 언어의 불편이 적은 음식(65.3점), 미용(뷰티, 62.4점), 음악(62.0점) 등이 현재 한류를 이끌고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이 분야들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대표 콘텐츠로 향후에도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와 홍보가 중점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 선호하는 한국 영화-배우.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한류 콘텐츠의 호감도 저해 요인으로 소재·줄거리 등 작품 내적요인, 정치·외교적 상황, 비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설문이 이뤄졌다. 이 중 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출판 분야 모두 '번역·자막·더빙 등 시청 불편', '어렵고 생소한 한국어', '자국어 번역 미흡' 등 언어적 문제가 1~2위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한류 소비자들이 한국어를 한류 콘텐츠의 대표적 상징이자 독자적인 개성으로 인식하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 선호 한국 가수-그룹.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또한 최근 한류 콘텐츠 소비 유형을 반영해 올해부터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누리소통망(SNS
'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 보고서'는 28일 이후 문체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