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호분 석곽 내 피장자 꾸밈유물 노출 |
일제에 도굴되지 않은 무덤에서 가야 지배자 유물이 머리에서 허리 부분까지 매장 당시 제 위치에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교동 Ⅱ군 63호분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비화가야 지배자의 착장(꾸밈) 유물인 금동관을 비롯한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인된 장신구 유물은 높이 21.5㎝의 금동관과 관에 드리운 금동 드리개, 금동 막대장식, 굵은 고리귀걸이 1쌍, 유리구슬 목걸이, 은반지들과 은 허리띠 등 지배자 몸에 둘렀던 상태의 꾸밈유물 일체다. 장신구들은 피장자에 부착했던 상태 그대로 발견됐다.
↑ 금동관 내부 관모 모습 |
피장자의 몸을 장식한 꾸밈유물 일체가 온전히 확인된 것은 비화가야의 최고 지배층 고분에서는 최초의 사례다.
특히 신발이 발견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지난 9월 발굴돼 큰 화제가 되었던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장신구 일체와 비슷한 구성이다.
양숙자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은 "당시 비화가야가 신라의 선진 매장 풍습을 적극 받아들였다는 증거"라며 "그동안 학계에서 예상했던 것이 처음 실물로 확인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무덤의 연대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창녕에는 신라 영토라는 의미의 진흥왕 척경비(국보 제33호)가 561년에 세워졌다. 비화가야는 여러 가야 중 창녕을 거점으로 삼았다.
피장자 발치 바닥을 약 40㎝ 정도 낮춘 공간(길이 220㎝, 너비 130㎝)이 확인되었는데, 2명의 순장자가 안치된 공간으로 추정된다. 이곳에서는 순장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 등도 같이 확인되었다.
금동관은 가장 아래에 3cm 너비의 관테(머리에 관을 쓸 수 있도록 둥글게 만든 띠)가 있으며, 그 위에 3단으로 이루어진 3개의 나뭇가지 모양 장식(樹枝形 立飾, 수지형 입식)을 세운 형태이다. 관테 아래에는 곱은옥과 금동구슬로 이루어진 금동드리개가 양쪽에 있고, 관테 양 측면에는 원통형의 금동막대 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세움장식 밑면에는 관모로 추정되는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 상태였다.
허리부분을 장식한 45cm 은허리띠에는 2개의 은장식 손칼(刀子)과 띠끝장식이 드리개로 덧붙여진 형태이다. 양손 부분에서는 각각 1개(오른손)와 3개(왼손)의 은반지가 확인되었고, 피장자의 오른 팔뚝 부분에서는 팔찌나 손칼 장식으로 추정되는 원형금판에 연결된 곱은옥과 주황색 구슬들도 확인되었다.
↑ 조사지역 전경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오는 11월 5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발굴 당시 녹화한 동영상을 공개하고,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향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