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닥터 장(양동근·왼쪽)은 의뢰인 소희(이정현)에게 남편의 정체가 사실 외계 종족 언브레이커블이라고 알려준다. [사진 제공 = TCO] |
'죽지않는 인간들의 밤'에서 뜻밖의 사고로 기억을 잃은 장 박사(양동근)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묻는다. 어느 초등학교 출신인지 말이다. 이 영화의 팬이라면 필시 저 물음에서 웃음을 터뜨리고 말았을 것이다. 그가 반복해서 저 질문을 던질 때 폭소 끝에 이유 모를 눈물을 흘린 이도 있을지 모른다. '어떤 초등학교를 졸업했느냐' 이것은 이 작품의 핵심이자 후대 한국 코미디 영화 감독들에게 연구 대상이 될 킬링 파트다. 해당 대사를 중심으로 '죽지않는…'을 살펴본다.
먼저 줄거리를 쓱 훑어보자. 하루 21시간 쉬지 않고 활동하는 남편 만길(김성오)이 수상하다고 여긴 새댁 소희(이정현)는 흥신소를 찾는다. 미스터리 연구소라고 이름을 붙인 탐정 사무실의 소장이 바로 닥터 장. 그는 만길이 집 밖에서 여러 여자와 교제하고 있음을 의뢰인에게 알린다. 그러나 닥터 장이 놀랍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만길의 여성 편력이 아니다. 주기적으로 경유를 마신다는 것이다. 닥터 장은 만길이 지구를 점령하러 온 외계 종족 언브레이커블임을 밝히고, 그를 처단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닥터 장 자신이 놓은 덫에 여차저차해서 스스로 걸려드는 경위는 영화에서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란다. 이 기사에선 '왜 하필' 기억을 잃은 자가 집착하는 정보가 상대방의 출신 초등학교인지를 들여다본다. 이것이 정말 뜬금포(기대 안 했던 홈런) 대사인 이유는 보통 우리가 아이스 브레이킹을 위해서 던지는 질문과 거리가 있어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남과 접점을 찾기 위해 어떤 대학교 또는 고등학교를 다녔는지 묻는다. 통학했던 초등학교까지 묻게 되는 건 통상 다른 여러 질의응답을 거친 뒤다.
↑ 충격적 사고 후 기억을 잃고 아이의 지능을 갖게 된 장 박사는 사람들에게 "초등학교 어디 나왔어요"라고 묻고 다니게 된다. [사진 제공 = TCO] |
문제는 머릿속에 흐릿하게 남아 있는 기억이 초등학교를 졸업해서 중학교를 입학할 무렵의 것뿐이라는 사실이다. 그는 그것이나마 필사적으로 잡아야 자신이 살 수 있다고 느낀다. 누굴 만나든 "초등학교 어디 나왔어요"라고 절박하게 묻는 건 동물적 생존 본능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웃프다. 모든 기억을 잃은 사람이 살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밧줄이 한국에선 겨우 출신 학교 정도란 것이다. 배우 최민식은 김지운 감독 코미디 '조용한 가족'을 본 뒤 "세상살기가 이렇게 힘든 거야"라고 했다고 한다. '죽지않는…' 역시 인생의 희비극이 사실 종이 한 장 차이임을 잘 이해하고 있는 작품이다. 정작 영화를 연출한 신정원 감독은 특별히 웃기려는 의도로 만든 대사는 아니라고 하니, 진정 타
물론 신 감독의 모든 영화가 그렇듯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 그러나 '시실리 2km' '차우'로 한국 B급 코미디 저변을 넓혀온 한 작가의 작품 세계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보고싶은 시네필이라면 한 번쯤 시도해볼 만한 작품이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