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는 원인으로 남성은 높은 직무도 요구, 여성은 비합리적 조직체계를 지목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성균관대 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상원 교수 연구팀은 2012~2017년 이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8살 이상 9만5천356명의 자살 충동과 직무 스트레스 등을 측정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조사에서 최근 1년 내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총 3천460명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들을 ▲ 18∼35살 ▲ 36∼44살 ▲ 45살 이상 살 그룹으로 분류한 뒤 성별에 따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18∼35살 남성은 자살 충동과 연관이 있는 직무 스트레스 원인으로 높은 직무 요구도, 직장 내에서의 보상 부적절을 꼽았습니다.
36∼44살의 남성은 높은 직무 요구도와 보상 부적절에 이어 직무 불안정을 지목했습니다.
45살 이상 남성은 직무 불안정을 가장 큰 요인이라고 답했고 이어 비합리적인 조직체계를 직무 스트레스 요인으로 짚었습니다.
젊은 남성 직장인은 직무 수행과 보상의 부조화를 직장 내 큰 고충으로 보지만 중년 남성은 지속적 근로 가능 여부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었습니다.
반면 여성은 18∼35살 그룹에서 비합리적인 조직체계와 직장문화가 자살 충동을 유발하는 직무 스트레스라고 꼽았습니다.
다만 36∼44살, 45살 이상 여성에서는 자살 충동과 관련한 직무 스트레스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연구팀은 이 부분에 대해 36살 이상 여성 직장인은 가정생활과 양육 등 외부적 환경 요인이 자살 충동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전 교수는 "이 연구 결과로 근로자의 자살 생각을 줄이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에 게재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