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 독서 시간의 변화 |
11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년간 성인(만 19세 이상)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이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2017년 대비 각각 7.8%포인트, 2.2권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연간 독서율은 일반도서(교과서, 학습참고서, 수험서, 잡지, 만화 제외)를 1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이다. 지난해 초·중·고교생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90.7%, 독서량 32.4권으로 2017년보다 독서율은 1.0%포인트 감소했으나 독서량은 3.8권 늘었다.
반면에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6.5%, 학생은 37.2%로 2017년보다 각각 2.4%포인트, 7.4%포인트 증가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조사한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 3.5%, 학생 평균 18.7%(초등학생 30.9%, 중학생 11.6%, 고등학생 13.9%)인 것으로 조사됐다.
↑ 독서 장애 요인 <성인-학생> (단위: %) |
연령대별 독서율(종이책+전자책)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대학생은 2.7%포인트, 30대는 2.0%포인트 증가한 반면, 50대에서 8.7%포인트, 60대 이상에서 15.8%포인트 떨어졌다. 지역 단위로는 대도시가 3.8%포인트 소폭 하락한 반면에 소도시는 15.1%포인트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들이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것은 성인의 경우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이었다. 이는 2017년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꼽았던 '시간이 없어서'를 밀어낸 것으로서,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참고로 학생의 주된 독서 장애 요인은 2017년도와 동일하게 '학교나 학원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전체 성인의 평일 기준 평균 독서시간(종이책+전자책 독서시간)은 31.8분으로 2017년 대비 8.4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독서율·독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독서시간이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책을 이용하는 독서자의 평일 독서시간이 2017년 36.7분에서 89.4분으로 2.4배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7개 광역 지자체별 5대 독서지표(종이책+전자책+오디오북 합산 기준 독서율, 독서량, 독서시간, 공공도서관 이용률, 독서 프로그램 참여율)를 분석한 결과, 2017년도에 5대 항목 모두 전국 평균을 상회한 지자체는 서울뿐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인천(4대 항목 → 5대 항목), 제주(3대 항목 →5대 항목)가 모든 항목에서 평균치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대전,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등은 지난 조사와 비슷하게 주요 항목이 저조해 지자체별로 특화된 독서진흥시책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매체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는 상황에서 독서 진흥을 위해 늘어나는 비독자 인구를 줄이고 '습관적 독자'(1주일 1회 이상 책을 읽는 독서 인구)를 늘리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비독자 편입 폭이 큰 고령층, 저소득층, 소도시 주민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전자책·오디오북 등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독서기반 마련이 시급함을 보여준다.
문체부는 '제3차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2019~2023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