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박근혜정부 시절 벌어진 언론의 독립성 훼손 사례를 밝히겠다며 출범한 KBS 진실과미래위원회(진미위)가 10개월 간의 활동을 종료했다.
위원장인 정필모 KBS 부사장은 24일 여의도 KBS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여러 불미스러운 사태로 공영방송으로서의 위상과 신뢰가 바닥까지 무너져내렸다"며 "아프더라도 문제를 인식하고 자기성찰과 검증을 통해 다시 태어나자는 의미에서 이런 조사를 벌였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올해 4월까지 총 22건의 보도 공정성·독립성 사례를 조사해서 보고서를 완성하고 심의 의결한 뒤 양승동 KBS 사장에게 제출했다. 조사 보고서는 ▲ 편성규약 무력화 시도 ▲ 외부 권력의 방송 개입 ▲ 여론전환용 '관제성' 특집 프로그램 ▲ 방송의 사유화 ▲ 부당노동행위와 부당 징계 ▲ 재단, 자회사 설립과 운영의 문제점 등 6가지로 구분된다.
편성규약 무력화 시도 사례로는 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보도 관련 연이은 낙종과 기계적 균형 맞추기가 대표적인 케이스로 꼽혔다. 위원회는 "기자들은 이 과정에서 학습된 무기력에 시달렸고 공영방송의 영향력과 신뢰도가 급전직하했다"고 보고했다.
외부 권력의 방송 개입 사례로는 2008년 사장 선임에 청와대가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포함됐다. 가수 윤도현이 진행 중이던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하차한 데 국가정보원이 개입했다는 의혹도 있었다. 아울러 위원회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성추행 사건 발생 시 편성된 '대통령 방미 성과 특집'이 '여론전환용'이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위원회는 22건 중 5건의 사례를 근거로 총 19명에 대해 징계를 권고했다.
이 과정에서 조사 대상자들이 위원회 활동 목적을 보복과 징계라고 지적하며 출석과 증언 거부, 고소와 고발, 소송 등으로 반발하면서 갈등이 첨예화하기도 했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