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벤져스: 엔드게임'(어벤져스4) 열풍이 극장 풍경도 바꿔놓고 있다.
'어벤져스 4' 러닝타임이 3시간 57초에 달하다 보니 극장들은 상영 회차를 늘리기 위해 스크린을 사실상 24시간 운영 중이다. 평소에는 생소한 시간대인 26시(오전 2시), 28시(오전 4시)대에 시작하는 영화도 있다. 심야에도 관객을 불러모으려면 직원 배치는 필수다. 멀티플렉스 지점들은 밤샘 운영을 위해 '알바생' 충원에 나섰다.
CGV 채용공고 게시판에는 단기간 일할 '미소지기'(아르바이트생)를 채용한다는 지점별 공고가 잇따랐다. 시급은 시간당 8350원이지만, 초과 근로나 오후 10시 이후 야간 근로 때 50%를 가산해준다는 근무조건을 내걸었다.
강북의 한 롯데시네마 상영관 입구에는 '어벤져스: 엔드게임' 종료 후 쿠키 영상이 없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극장이 영화 엔딩 크레디트 뒤에 붙는 쿠키 영상 유무를 상영관 앞에 고지해 놓는 일은 이례적이다.
롯데시네마 관계자는 "쿠키 영상이 있는지 물어보는 관객이 너무 많아 일일이 대응할 수 없어 고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요즘 극장 화장실과 엘리베이터 안에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낀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영화를 보고 나온 관객이 무심코 내뱉는 말에 스포일러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다. 인터넷과 SNS에선 기사 댓글 안보기, 극장 화장실 안 가기 등 '스포 방지 요령'이 퍼진다.
또한 영화 관련 물품을 파는 상점 앞에서도 여느 때와 달리 줄이 길게 늘어섰다. CGV 씨네 샵 등에는 '어벤져스' 관련 굿즈를 사기 위한 팬들이 상점 밖에까지 줄을 섰다. 특히 5000개 한정 판매하는 '마블 럭키박스'가 인기였다.
'어벤져스4'는 개봉 7일째 오전 700만 관객을 돌파했다.
30일 배급사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는 '어벤져스4'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배급사 실시간 티켓 발권 기준으로 이날 오전 7시 총 관객 703만6922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명량'(2014)과 '신과함께-인과 연'(2018)이 개봉 8일 만에 700만을 돌파한 것보다 빠른, 역대 최단 속도라고 배급사는 전했다. 전작들인 '어벤져스:인피니티 워'(2018)와 '어벤져스:에이지 오브 울트론'(2015)이 개봉 11일 만에 700만 관객을 돌파한 것보다는 4일 빠르다.
[디지털뉴스국]
![]() |
↑ 28일 서울 시내 한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 시민들이 티켓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