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언론과 역사학자들이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역사관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자, 도 후보자는 8일 "특정 학설을 일방적으로 주장하거나 이를 정부정책에 반영할 의사가 전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체부는 '도종환 장관 후보자 역사관 관련 입장'이라는 자료를 통해 "도후보자가 '역사문제는 학문연구와 토론으로 풀어야 하지 정치가 좌지우지할 영역이 아니다'고 밝혀왔다"며 도 후보자가 재야사학에 치우쳐있다는 일부 비판에 정면으로 맞섰다.
특히 도 후보자는 '유사역사학 추종자' 등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주장과 낙인, 가정에 근거한 우려에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도 후보자는 "한 일간지에 보도된 '싸울 때는 싸우겠다' 는 표현은 독도 및 동북공정 등 역사 왜곡을 대상으로 이야기한 것"이라며 "역사학계와 싸우겠다는 의미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 후보자는 역사와 관련된 자신의 활동에 치우침이 없었다고 역설했다. 그는 " 역사학계와 함께 국정 역사교과서를 반대하는 의정활동을 성실하게 수행해 왔다"며 "'역사교과서 다양성 보장법안'(국정교과서금지법안)을 대표 발의하면서 학계 및 역사교육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고 밝혔다.
도 후보자는 동북아역사재단의 '동북아역사지도' 사업이 중단된 데에 대해선 "'지도 제작의 총체적인 부실'을 드러낸 교육부의 사안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후 동북아역사재단이 진행한 재심사 결과에서도 'D등급'(100점 만점에 44점)을 받고 10억원이 넘는 연구비 회수가 최종 결정된 바 있다"며 "이는 심사위원 전원의 합의에 의해 내려진 결정이었다"고 덧붙였다. 또 '하버드대 한국고대사 프로젝트'를 중단시켰다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며 "이에 대해서는 특위나 상임위에서 질의한 적도 없으며
아울러 도 후보자는 "문체부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박물관 정책, 문화재의 발굴과 보존, 연구자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역사학계와 긴밀하게 소통해 나갈 것"이라며 "편향되지 않고 균형감 있게 일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