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사적 제16호) 성벽에서 약 1500년 전 제물로 묻은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나왔다.
성벽 유적에서 인골이 출토된 것은 국내 최초다. 제방을 쌓거나 건물을 지을 때 사람을 주춧돌 아래에 매장하면 무너지지 않는다는 인주(人柱) 설화가 허구가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월성에서 지난해 3월 이후 진행된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5세기 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하늘을 향해 똑바로 누워 있는 인골 1구와 얼굴과 팔이 이 인골을 향해 있는 또 다른 인골 1구를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인골의 얼굴 주변에서는 나무껍질이 부분적으로 확인됐다. 두 인골은 결박이나 저항의 흔적이 없고 곧게 누운 점으로 미뤄 사망한 뒤에 묻힌 것으로 판단된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중국에서는 상나라(기원전 1600∼기원전 1000년께) 시기에 성벽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쓰는 풍속이 유행했다고 전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에 충혜왕 4년(1343) 인주 설화와 관련된 유언비어가 항간에 돌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인골이 출토된 서쪽 성벽은 조사를 통해 5세기께 처음 축조돼 6세기에 최종적으로 보수됐고, 문이 있던 자리는 유실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와 함께 경주 월성의 북쪽 해자에서는 독특한 모양의 토우(土偶, 흙으로 빚은 사람 형상의 인형)와 월성의 역사적 가치를 입증하는 목간도 나왔다.
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짐작되는 이 토우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허리가 잘록해 보이는 페르시아풍의 긴 옷을 입었다.
연구소는 "당나라 시대 호복(胡服)이라고 불린 소그드인의 옷과 모양이 유사하다"며 "소그드인은 중앙아시아에 살던 이란계 주민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월성 해자에서 새롭게 발굴된 목간은 모두 7점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경주 월성은 제5대 파사왕 22년(101) 축성을 시작했으며, 신라가 망한 935년까지 궁성으로 쓰였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