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이 '아리랑'을 자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등재한 사실이 길림 신문 등 중국 언론이 21일 보도해 논란이 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최고의 국가행정기관인 국무원은 최근 조선족 민요와 풍습이 포함된 제3차 국가무형문화유산을 발표했다. 랴오닝(遼寧)성 톄링(鐵嶺)시 판소리와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 아리랑, 가야금, 결혼 60주년을 기념하는 회혼례, 씨름 등이다. 조선족 전통 풍습인 환갑례와 전통 혼례, 한복, 지린(吉林)성 옌볜 조선족자치구 왕칭(汪清)현의 농악무 등도 중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상태다.
중국은 조선족 등 국내 55개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오래 전부터 융화 정책을 펼쳐왔다. 1987년 발행한 중국 화폐에는 한복 차림의 조선족이 등장했고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조선족의 부채춤과 장구춤을 선보인 바 있어 이번에 아리랑 등이 또 다시 중국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논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아리랑 관련 국내 단체인 한민족아리랑연합회는 21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아리랑을 한국의 100대 상징의 하나로 선정, 2008년부터 아리랑 세계화 사업팀을 운영하며 국가 브랜드 사업과 연동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분명한 위협"이라고 지적하며 “항의로 수정될 사항이 아니라는 점에서 사태의 심각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조선족 동포들의 아리랑을 등재한 것이니 문제가 되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번 지정이 동북 공정의 일환이고 북한과 일정부분 논의를 했으리라는 점 그리고 특히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예비 작업일 수 있다는
한편 중국의 아리랑 문화유산 등재 소식이 알려지자 네티즌들은 “말도 안 된다”,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들이 모르는 사이에 많은 것을 빼앗기고 있다는 사실에 분노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정아 인턴기자(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