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경찰 조사에서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무회의의 시작을 알리는 절차도, 끝을 알리는 절차도 없었다고 진술한 걸로도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 측근으로 꼽히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조차 같은 진술을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 두 사람만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어서 우종환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달 12일 경찰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12·3 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회의의 시작부터 끝까지 진행상황을 물었습니다.
그러자 최 대행은 "시작과 종료 자체가 없었다"고 진술한 걸로 MB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무슨 뜻이냐는 질문에는 "국무회의를 시작할 때나 종료할 때 대통령이 의사봉을 두드리는 데 그런 절차도 없었다는 의미"라며 "국무회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측근이자 같은 충암고 출신인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같은 진술을 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이 전 장관은 국무회의를 시작한다는 '개의 선언'도 없었고 국기에 대한 경례와 같은 절차도 없었다고 진술했습니다.
이는 지난 23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국무회의 절차가 정상적으로 진행됐다고 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됩니다.
▶ 인터뷰 : 김용현 / 전 국방부 장관 (지난 23일)
- "20시 30분경부터 도착해서 22시 15분 정도까지 대통령실에서 같이 국무위원들이 오는 대로 심의했습니다. 1시간 30분 넘게 순차적으로 심의가 이뤄졌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김 전 장관은 "계엄 선포에 찬성한 국무위원이 있었다"고도 주장했지만 최 대행과 이 전 장관 모두 "찬성한 위원은 없었다"고 진술한 걸로도 확인됐습니다.
▶ 인터뷰 : 최상목 / 경제부총리 (지난달 11일)
- "회의라는 것도 사실은 모르고 참석을 했습니다. 강하게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결국,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단 두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반대되는 진술을 하는 만큼 앞으로 시작될 재판은 두 사람에게 불리하게 흘러갈 가능성이 나옵니다.
MBN뉴스 우종환입니다. [woo.jonghwan@mbn.co.kr]
영상편집 : 최형찬
그래픽 : 김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