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가족돌봄청년' 제도에 중점 둬야
국민 10명 중 6명은 우리나라가 복지국가라고 생각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가구이거나 젊은 세대일수록 이에 동의하는 비율이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오늘(19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복지부와 함께 '사회정책 국민 인식조사 연구 포럼'을 열어 이런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보사연은 지난 10월부터 지난달까지 전국 성인 3,026명(남성 1,531명·여성 1,495명)을 대상으로 복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태도 등을 설문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가 복지국가라는 데 동의하는 비율은 전체의 57.4%였습니다.
하지만 50대 이하는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특히 40∼50대 56.3%, 20∼30대 55.1%로 동의 비율은 젊을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60대 이상에서는 61.8%가 동의했습니다.
아동이 있는 가구에서도 우리나라가 복지국가라는 데 동의하는 비율이 평균을 밑도는 55.4%였습니다.
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정부의 책임이라고 가장 크게 인식하는 항목은 '장애인들의 적절한 삶의 질 유지'였으며, 응답자의 84.2%가 동의했습니다.
이어 '보육서비스 제공'(83.1%), '노인들의 적절한 삶의 질 유지'(79.3%), '의료서비스 제공'(78.0%), '부자와 빈자 사이의 소득 격차 감소'(73.4%) 순이었습니다.
사회보장제도가 새롭게 중점을 둬야 할 대상으론 아픈 가족 등을 돌보는 '가족돌봄청년'(43.5%)이 가장 높은 지지를 얻었습니다.
가족이나 사회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 '사회적 고립자'(34.8%), 아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의 보호가 끝나 자립을 준비하는 '보호종료아동·자립준비청년'(32.0%)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복지를 확대하기
이어 '전국민적인 증세'(44.2%), '새로운 형태의 세금 도입'(40.3%), '사회보험 가입자 대상으로 사회보험료 증액'(39.6%) 등이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