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31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9월 수도권에서 체결된 오피스텔 임대차 거래 10만8841건 가운데 52.2%인 5만6786건이 월세 거래로, 이 비율은 2020년과 2021년 각각 45.8%(11만 6030건 중 5만3099건), 48.7%(13만795건 중 6만3685건) 기록을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월세 비율이 54.1%로 가장 컸다. 전체 오피스텔 임대차 거래 5만10건 중 2만7031건이 월세 거래였다. 이어 경기 53.2%(4만5299건 중 2만4080건), 인천 41.9%(1만3532건 중 5675건)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금리 인상에 따른 전세 대출이자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월세 전환의 기준이 되는 전세 보증금이 오르면서 월세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부동산R114 측은 분석하고 있다. 실제 수도권에서 거래된 오피스텔의 ㎡당 전세 보증금은 2020년 506만원, 2021년 554만원, 2022년 584만원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2022년 ㎡당 전세 보증금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779만원)이 인천(370만원)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월세를 찾는 신규 수요뿐만 아니라 전세보증금 인상분을 월세로 전환하는 갱신 수요가 늘면서 월세가격도 오르고 있다. 서울의 평균 월세 가격은 재작년 77만8000원, 작년 78만1000원에서 올해 9월
부동산R114 관계자는 "월세가격 상승과 함께 수도권 오피스텔 월세 시장에서 보증금이 1년치 월세가격 이하인 '순수월세'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오피스텔의 주 임차 수요인 젊은 1~2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