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도 부천시 쿠팡 물류센터 모습. 본 기사와 관련 없음.[사진 = 연합뉴스] |
31일 알스퀘어가 발간한 '2022년 상반기 수도권 물류센터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수도권 물류센터 공급은 약 171만9008㎡(약 52만평)으로,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인 2019년 상반기(약 138만8429㎡·42만평) 기록을 넘어섰다. 특히 경기도 광주와 용인·이천·여주 등이 속한 동남권(약 66만1157㎡·38.0%)과 인천과 경기도 안산·시흥 등 서부권역(약 59만5041㎡·34.3%)에 공급이 많았다.
올해 상반기 수도권 물류센터 거래규모도 약 2조7000억원으로 이전 최대치였던 2020년 상반기(1조8000억원)를 크게 넘어섰다. 연간 기준 거래규모 최대치는 지난해로, 5조1000억원이다. 올해 상반기 거래가 활발했던 이유는 복합센터 거래금액이 예년 대비 60%가량 증가했기 때문이다. 대형 복합 물류센터 공급 트렌드가 거래시장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 측면이 크다고 알스퀘어는 분석했다.
같은 기간 음식물 등을 보관하는 수도권 상온 물류센터 평균 공실률은 1% 안팎으로 낮았다. 저온센터는 북부·서북부·중부가 0~1%, 서부와 남부·동남부 권역이 6~7%의 공실률을 기록했다. 이커머스 업체의 당일 새벽 배송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 진데 반해 빈 물류센터 찾기는 더욱 어려우진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온라인 소비 수요가 늘면서 제3자물류(3PL)와 이커머스 화주사의 수도권 물류센터 임차 면적 비울은 각각 34.3%와 24.4%를 차지했다.
![]() |
↑ 올해 상반기 물류센터 권역별 신규 공규 [사진 = 알스퀘어] |
복합센터 내 저온센터 면적 비율은 올 상반기 기준 약 40%로, 복합센터 공급면적이 증가한 2020년(약 45%), 2021년(약 42%)과 비교해 하락했다. 전체 물류센터에서 저온센터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8년 1.3%에서 2021년 11.1%까지 치솟았다가, 올해 상반기 9.1%로 2%포인트 내렸다.
임대료 상승이 유지되고 있는 상온센터와 달리 저온센터의 임대료는 상승폭은 둔화하고 있다. 이커머스 업체의 새벽배송 철수와 공급 과잉에 따른 저온센터 수요 감소가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 상온센터의 경우 작년 하반기 2만8000원대였던 3.3㎡당 평균 임대료가 올해 2분기 3만원선까지 올랐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저온센터는 5만8000원대 초반에서 5만8000원대 후반으로 소폭 오르는데 그쳤다.
알스퀘어는 당분간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진원창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