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168곳에서 총 2만9390가구로 집계됐다. 사진은 대구 수성구 아파트 전경. [매경DB] |
![]() |
지역별로 보면 분양보증사업장 중 지난 5년간 미분양이 가장 많았던 곳은 경북(8192가구)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미분양 무덤'이란 오명을 쓰고 있는 대구(7511가구)가 뒤를 이었다. 이후 경기(6965가구), 전남(5558가구), 충남(3766가구), 경남(3412가구), 서울(2685가구) 등 순이었다. 이 기간 분양보증사고로 인해 HUG가 채무를 대위변제한 뒤 처분권을 취득한 환급 사업장은 총 6건(3542억원)이고, 공매도는 총 25건(686억원)이다. 조 의원은 "최근 청약시장 분위기가 꺾이고 미분양 사업장이 급증하면서 보증사고로 이어질 우려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물가·고유가·고환율 등으로 인한 건설 원자재 가격 폭등과 미분양 증가에 따른 주택건설경기 악화가 자금력이 약한 중소건설사를 중심으로 연쇄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렇게 될 경우 시공사 변경 같은 절차로 입주가 수개월 지연되는 등 분양받은 실수요자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한편 집값 하락이 지속되면서 깡통전세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HUG가 대위변제한 전세보증금 규모는 4년간 1조663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인호 민주당 의원이 HUG에서 받은 전세보증금 대위변제 현황 자료에 따르면 공사가 집주인 대신 임차인에게 지급한 전세보증금은 2019년 2837억원에서 2021년 5040억원으로 78% 증가했고, 올해는 8월 현재 4341억원 수준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다세대주택(빌라)이 8245억원으로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했고, 아파트가 6232억원이었다.
아파트는 2019년 2121억원에서 2021년 1334억원으로 감소한 반면 최근 깡통주택 등 전세사기가 급증하는 다세대주택의 경우 2019년 496억원에서 2021년 3015억원으로 6배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6912억원, 경기 5585억원, 인천 2090억원 등 수도권이 1조4587억원으로 전체의 88%를 차지했다.
최 의원은 전세금 반환 보증제도가 전세사기 등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공시지가 비율을 낮추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HUG는 전세금 반
[연규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