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무차입 공매도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고, 투자자들에게도 기회를 균등하게 준다면 공매도 제도에 대한 오해가 풀릴 것이라고 15일 밝혔다. 일부 자산운용사의 잘못된 운용 행태에 대해선 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금감원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공매도 조사와 관련해 "한 달 반 정도 거래소의 무차입 공매도를 봤고 무차입 공매도에 대한 책임을 묻는 절차는 계속 흘러갈 것"이라며 "그 외는 불공정거래 조사인데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공매도 제도 자체를 셧다운 하기보다는 개인 투자자들도 용이하게 가격이 하락할 때는 숏을 할 수 있도록 기회균등을 준다면 공매도 제도에 대한 오해가 풀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가 주식시장 시장조성자인 9개 증권사의 시장 질서 교란 행위 혐의에 대해 위법이 아니라며 금감원의 판단을 뒤집은 것에 대해선 "2~3건 정도를 분리했으면 제재 결과가 금감원이 바라는 대로 나올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며 "법률가로서 좀 더 명확하게 할 여지는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차명 투자 의혹을 받는 강방천 전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이 금감원으로부터 직무 정지 처분을 받는 등 자산운용사 문제에 대해선 "자산운용사에 적대감이 없으며 대부분 건실하지만, 일부 자산운용사는 오늘만 사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경우 자산운용사의 시장 기능을 존중한다고 해도 간과할 수 없다"며 "일부 자산운용사의 잘못된 운용은 강하게 대응할 것이며 지금도 일부 대형 자산운용사를 검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바젤은행감독위원회(B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