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남산에서 관광객들이 아파트로 가득한 서울을 바라보고 있다 . [사진 = 이승환 기자] |
그러나, 인허가 물량이 실체화되는 과정의 이탈 수준을 상호 비교한 결과, 평균적으로 15~18%는 착공과 준공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하는 2005~2021년 17년 동안 연평균 주택 인허가, 착공, 준공 물량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인허가에서 착공 단계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약 15% 수준의 물량이 이탈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준공에 도달하는 물량도 약 18% 가량 줄어들었다. 정부가 계획한 270만 가구 인허가 물량에 단순 대입하면 착공 단계까지 약 40만 가구, 준공 단계까지 약 48만 가구가 실체화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출된다.
다만, 서울처럼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우수한 지역들은 인허가 받은 물량의 94% 수준이 실제 준공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별 착공·준공 비율은 차이가 있었다.
인허가 물량 대비 착공과 준공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지역으로 인허가 물량의 약 90%가 착공되며 94%는 실제 준공까지 순조롭게 추진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 계획(50만 가구)대로 라면 45만 가구 이상이 착공 및 준공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 2005~2021년 전국 주택 인허가 및 착공, 준공 연평균 물량 비교 [단위 = 가구, 자료 = 부동산R114] |
서울에 이어 인허가 물량 대비 준공 물량 비율이 높은 지역은 대전 94%, 광주 93%, 부산 87% 등 도심(광역시) 일대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68%), 충남(73%), 전북(78%), 전남(78%), 경기(78%) 지역은 인허가 대비 준공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업계는 정부의 발표대로 270만 가구가 온전히 시장에서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인허가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인허가를 받은 이후에도 사업추진 과정에서 시공사의 자금조달 문제나 시공사-조합(원)간 이견, 경기 여건 등에 따라 사업이 철회되거나 오랜기간 지연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윤 연구원은 "최근에는 건설 원가의 급격한 상승과 분양 경기 악화에 따라 리스크 관리 차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