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정기예·적금에 이달에만 7조원이 몰렸다.
금융당국이 은행을 향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를 줄이라고 압박하는 가운데 저축성 상품 금리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올해 들어 예·적금에 몰린 돈만 68조원에 달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 25일을 기준으로 718조8970억원이다. 이는 지난 7월 말보다 6조4479억원 늘어난 것으로, 같은 기간 정기적금도 38조1167억원에서 38조7838억원으로 6671억원 증가했다. 이달 들어 25일 동안 5대 은행 정기예·적금에만 7조1150억원이 새로 흘러 들어온 것이다.
금리가 오르기 시작한 작년 말과 비교하면 올해 8개월간 불어난 수신 규모는 67조6442억원(690조366억원→757조6808억원)에 이른다. 반면 투자처를 찾지 못한 '대기성 자금' 성격의 요구불 예금은 이달 1조762억원 감소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도 지난 25일까지 1조2384억원 더 줄었다. 남은 영업일에 이변이 없다면 올해 1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가 예고됐다.
7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자 주요 시중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일제히 0.5∼0.9%포인트 올렸다. 이달 25일에도 한은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로 올렸고, 은행들도 기준금리 인상 폭을 웃도는 최대 0.5%포인트까지 예·적금 금리를 상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은 줄고 예·적금 잔액은 늘고 있다"며 "기존 가입자에게는 만기가 3개월이 채 남지 않았다면 해지하지 말고 기다리라고 권고한다"고 말했다.
정기예금을 중도 해지하면 통상 납입 기간에 따라 이자율을 기본금리(우대금리 제외)의 50∼80%만 적용한다.
[문일호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