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단순 계산으로 30세에 빚을 내서 집을 사면 은퇴하고도 75세까지 상환해야 은행과 맺은 주담대 약정이 끝나 빚에서 해방될 수 있는 셈이다. 때문에 반평생 빚만 갚다가 인생이 끝난다는 말까지 나온다.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오는 17일부터 은행권에서 처음으로 주담대 최장 만기를 45년까지 연장해 시행한다. 우리은행 등 다른 시중은행의 경우 주담대 만기는 현재 40년이 최장이다.
분할 상환 주담대 상품의 만기가 길어지면 상환 기간이 길어져 매달 원리금 부담액이 줄어든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비율이 낮아져 대출한도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 고객의 상환 부담 경감을 위해 최장 만기를 늘렸다"며 "원리금 상환액 부담을 낮출뿐만 아니라 대출 한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 |
↑ [사진 제공 = 카카오뱅크] |
그러나 이같은 현상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대출을 늘리면서 매달 원리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집을 마련하는데 당장은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은퇴 후에도 빚을 계속 갚아야 하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가령 30세 청년이 시세 6억원 아파트를 사기 위해 대출을 했다고 하자. 장기·고정금리·분할상환 주담대인 보금자리론을 최대 한도인 3억6000만원까지 받아 50년 만기(금리 연 4.85% 적용)로 원리금을 상환하면 매달 159만6991원을 부담해야 한다. 대출원금 3억6000만원 대한 50년 상환 기간 동안 내는 총이자는 5억9819만4618원이다. 결과적으로 원금을 포함하면 총 9억5819만4618원을 75세까지 갚아야 한다.
이런 장기 상환 주담대가 나오는 것은 가계부채 문제 때문에 나온 고육책이라는 지적이다. 1900조원에 가까운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가 언제나 경제의 시한폭탄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적자 가구가 전체 가구의 20%에 달하고 금리 인상기에 접어든 만큼 가계의 상환 여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17.2%가 적자 가구다. 가구 수로 환산하면 354만 가구에 달한다. 적자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