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으로 큰 금액의 대출을 얻어 집 사기가 어려워지면서 최근 소형 아파트 거래 비중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4년만에 처음으로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아파트매매 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5월 전국에서 전용면적 60㎡이하 아파트 매매비율은 52.8%를 기록했다. 전용 60㎡이하 아파트 매매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지난 2008년(연간 기준) 52.74%를 기록한 이후 저금리 등으로 아파트 매매수요가 몰렸던 2018~2020년 40% 정도를 유지하다 정부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으로 올해 들어 14년만에 처음으로 50%대를 넘어섰다. 특히 정부 대출규제하에서도 6억원 이하 아파트들에 대해 최대 3억6000만원까지 대출을 해주는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을 이용해 2030 세대들이 소형 평수 아파트들을 주로 매입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같은기간 매매된 15만5987건 중 전용 60m²이하 소형주택의 거래는 8만2384건이었고, 61~85m²는 6만1121건(39.18%), 86~135m²는 1만253건(6.57%), 136m²이상은 2229건(1.43%)를 각각 기록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민간 등록임대사업자 제도가 부활되면 임대수익과 시세차익을 잡으려는 수요로 소형아파트 인기는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금리 인상으로 매수 심리가 악화되며 민간 통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3년1개월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환됐다.
22일 민간 부동산 시세조사 기관인 KB부동산에 따르면 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 주 대비 0.02% 하락했다. 지난 2019년 6월10일(-0.01%) 이후 3년1개월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정부 부동산 공식 통계 기관인 한국부동산원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지난 5월30일(-0.01%) 부터 7월18일(-0.05%)까지 8주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 이어 민간 대표 통계 기관인 KB부동산 통계도 마이너스를 기록함에 따라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확연해진 셈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매수 심리를 나타내는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100 보다 낮으면 매도자가 매수자 보다 많음 의미)도 이번주(18일 기준) 85.7로 전 주 대비 0.7포인트 떨어졌고, 11주 연속 하락세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거래량이 역대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한 두건의 거래로 가격 하락이 나오고 있어 시장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고 속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추석 전후 가을 이사철에 거래량이 살아나면서 가격 하락이 이어질 경우에는 대세 하락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준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