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합장 사퇴 배경으로는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과 관련해 악화된 여론 등에 대해 압박감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시는 지난 7일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과 관련해 중간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에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은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반발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정비업계에서는 '서울시와의 협조가 조합의 사실상 마지막 출구였는데 스스로 발로 차버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여기에 상가 지분 쪼개기 의혹까지 드러나면서 조합 내부에서도 불만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도래하는 사업비 대출 7000억원에 대한 부담감이 컸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사업비 대출과 관련해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은 최근 "금융기관으로부터 사업비 대출을 확정해 7000억원 만기 상환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다만 대출 금리, 조건 등을 공개하지 않아 조합 내부에서 이와 관련된 문의가 끊이지 않았다.
조합 측은 "주초에 긴급 이사회를 개최하고 대행 체제를 출범한다"며 "시공사와의 협의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성실하게 진행한다"고 밝혔다. 조합장 사퇴로 사업 중단 상태인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김 조합장은 "시공단에 부탁한다"며 "제 사임과 자문위원 해촉을 계기로 사업 정상화에 박차를 가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우리 둔촌조합원의 어려운 사정을 고려해 분담금과 입주 시기에 대해 전향적인 고려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다만 시공단이 공사 재개 조건으로 집행부의 거취보다는 상가 문제 해결을 최우선시하고 있는 만큼 사업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
[정석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