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미지 출처 = 연합뉴스] |
12일 국회 김회재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국민연금(노령연금) 월 평균 수급액이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는 울산으로 월평균 75만7200원이었다. 이는 지역별 수급액의 평균(56만6800원)보다 20만원정도 많은 금액이다.
울산에 이어 세종(61만800원), 서울(60만4700원), 경기(59만2100원), 경남(58만3700원)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반면 전북(50만3200원), 전남(51만9400원), 충남(52만5700원), 대구(52만9600원) 등은 평균을 밑돌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오는 2025년, 고령인구 비중(20.6%)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성인 3명 중 1명은 노후준비가 전무한 실정"이라며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국민 60%정도가 국민연금으로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 |
김회재 의원은 "국토 불균형,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지역간 격차가 큰 상황에서 노후대비를 위한 1차 사회안전망인 국민연금에서조차 지역간 차이가 극명하다"며 "소외지역에서 발생하는 노후보장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연금 수급자가 1988년 제도 시행 후 지난 5월에 처음으로 600만명을 넘어섰다. 국민 전체중 약 11.6%가 국민연금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수급자 증가세는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300만명에서 400만
국민연금 관계자는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등으로 수급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면서 "수급자의 증가는 국민연금이 국민의 노후대비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