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신임 금융위원장은 11일 개인투자자들이 시행을 요구하고 있는 '공매도 금지'에 대해 "시장 상황을 봐서 필요하면 공매도 금지를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취임식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외국도 필요하면, 시장이 급변하거나 할 경우에, 공매도 금지를 한다"며 "시장 상황을 봐서 필요하면 공매도 뿐만 아니라 증시안정화기금도 활용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떨어질 때 해당 주식을 사서 되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내는 투자 방법이다.
특정주식 가격이 단기간 과도한 상승을 보일 때 매도 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는 등 증권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주가 하락에 거는 투자라 전체적인 증시 하락의 요인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가 최근 국내 증시 하락을 이끌었다며 전면 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날 김 위원장의 답변은 증시변동성이 심해진다면, 공매도 금지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 공매도뿐만 아니라 증안기금 등 지원기금을 통해 증시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의지까지 내비쳤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공매도 금지를) 아예 안 한다. 이런 기조가 아니라 시장을 잘 주시하면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증안지금도 상황에 따라 활용 여부를 오픈해서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이날 금산분리 규제에 대해서도 "금융환경이 급변했다"며 "과거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필요하면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금산분리 완화에 대한 입장에 대해 "금산분리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은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