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4일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는 기업일수록 상장폐지나 관리종목 지정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 최대주주가 변경된 상장사는 501곳으로,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상장사(스팩·리츠 등 제외)의 21%를 차지했다. 최대주주가 3회 이상 변경된 회사는 유가증권시장에서 6곳, 코스닥시장에서 39곳 등 총 45곳이었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최대주주가 3회 이상 변경된 회사들 가운데 재무 상태가 부실한 회사 비중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곳이 29곳(64.4%)이었고, 자본잠식 상태인 곳이 13곳(28.9%)이었다.
최대주주가 3회 이상 변경된 회사들 중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곳이 22곳(48.9%)이었고, 상장 폐지된 곳이 7곳(15.6%)이었다. 횡령·배임이 발생한 회사는 13곳(28.9%)이나 됐다. '보유주식 장내 매도'나 '담보주식 반대매매'도 22곳(48.9%)에서 발생했다.
최대 주주가 3회 이상 변경된 회사는 최근 3년간 평균 4.8회의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CB) 발행을 했다. 통상적으로 신주 발행이 잦으면 주식 가치가 희석화될 우려가 있다고 여겨진다. 최대 주주 변경 방식은 주식 양수도 계약(31.6%)이 가장 많았고, 제3자 배정 유상증자(26.3%), 장내 매매(14.0%) 방식 등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최대 주주 변경이 잦은 회사는 재무 상태 부실,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횡령·배임 등 투자 위험성이 높다"며 "빈번한 자금조달 과정에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특히 최대 주주의 보유주식 장내 매도, 반대매매 등 사유로
금감원은 향후 최대 주주 변경이 빈번한 회사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이들 회사가 제출하는 공시서류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는 등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