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
4일 직방 조사에 따르면, 이달 일반분양을 준비 중인 사업장은 총 63개 단지, 3만9655가구 중 3만4095가구다. 이는 전년 동원 물량 1만6819가구(일반분양(1만4960가구) 대비 74%(78%)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실제 분양여부는 미지수다. 앞서 5월 말에 조사한 6월 분양예정단지는 62개 단지, 총 3만2952가구(일반분양 2만8232가구)였지만, 계획 기간에 실제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절반 가량인 35개 단지, 총 1만6180가구(일반분양 1만3360가구)에 불과했다. 공급실적률은 49%(일반분양 47%)다.
![]() |
↑ 지난달 분양예정 및 분양실적 비교 [단위 = 가구수, 자료 = 직방] |
그런데 지난달 21일 국토교통부의 분양가 제도 운영 합리화 방안 발표로 공급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던 단지들이 점차 공급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분양가상한제 개편에는 정비사업 추진시 필수로 지출하는 비용을 분양가에 반영하며, 자재값 상승분을 건축비에 신속하게 반영하는 방안이 담겼다. 기존에는 정비 사업 분양가 산정시 택지 사업과 동일한 방식이 적용돼 사업에 필요한 필수 비용이 반영되지 못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정비사업장 분양가 산정시 주거이전비, 영업손실보상비, 명도소송비 및 기존 거주자 이주를 위한 금융비, 총회개최 등 필수소요 경비 등도 적정수준으로 반영된다.
아울러 주요 자재 항목을 현실화하고 조정 요건도 추가해 최근 자재값 급등으로 인한 변동도 적기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됐다. 분양업계 관계자 대다수는 이달 중순 시행이 예정돼 있는 만큼, 시행 후 분양을 지연하던 단지들이 본격적으로 공급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분양가 예상 상승률이 1.5%~4%에 그친 정비사업장의 경우 분양 속도가 개선될지는 미지수라는 의견이 많다.
한편, 이달 수도권 분양예정 물량은 1만2239가구다. 경기도와 인천에서 각각 10개 단지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