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분당과 일산, 산본 등 1기 신도시에서 여러 단지가 연합해 재건축을 추진하는 통합재건축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고양시 일산서구 후곡마을 10단지. [매경DB] |
29일 국토연구원은 경기도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1기 신도시 주택 소유자 546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노후주택 정비방식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6.2%가 '재건축'을 택했고 리모델링(35.9%), 현행유지(11.2%) 등이 뒤를 이었다.
신도시 별로는 분당의 주택소유자 중 재건축을 원하는 비중이 57.1%로 가장 높았고 평촌(44.7%), 산본(44.4%), 중동(41.6%), 일산(40.3%)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주인들은 주택정비에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을 묻는 질문에는 재건축에는 1.8억원, 리모델링과 동별 전면 개조에는 1.0억 원을 지불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재건축의 경우 분담금이 2억원일 경우 56.0%, 3억원일 경우 82.0%가 사업 수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리모델링 사업의 경우엔 분담금이 1억원일 경우 40.0%, 1억5천만원일 경우 70.0%가 사업 수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를 진행한 손은영 국토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주택 재정비 방식으로 주로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신도시별로 순위 간 격차가 존재하고 수단별 최대 지불가능 금액의 차이도 있어 수요자와 지역의 특성에 맞춘 관리 수단이 요구된다"며 "동별 전면 개조, 개별 전면 또는 부분 수선 등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방식을 택할 수 있도록 재정비 방식을 다각화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조사 대상인 주택 소유자 546명 가운데 보유중인 주택에 거주 중인 경우는 77.2%, 임대하고 있는 경우 22.8%로 나타났다. 주택수별로는 1주택자가 77.9%로 대부분이었고 2주택자는 18.5%, 3주택자 이상은 3.5%로 조사됐다.
주택 소유자의 77.1%는 매매를 통해 주택을 구입했으며 신도시 조성 초기 분양을 통해 구입한 비율은 20.3%로 나타났다. 증여 또는 상속은 2.0%, 기타 방법으로 구입은 0.5%였다. 주택구입을 위한 자금조달 방법은 필요 자금의 58.7%는 저축한 자금, 이 외 금액의 30.4%는 은행 대출로 각각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1기 신도시 주택 소유자들의 거주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직장·통근(32.4%)이었으며 이어 학교·학원 등 교육환경(17.0%), 도시공원과 녹지환경(13.7%), 부모·자녀·지인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3.2%) 등의 순이었다.
1기 신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이유 역시 직장·통근(51.2%) 때문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손 전문연구원은 "소유자가 직접 거주하는 경우 대부분이 경기도로 통근하고, 미거주자의 상당수는 서울로 통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1기 신도시가 베드타운을 넘어 경제·생활 기반 측면에서 자족성을 확충하기 위한
1기 신도시에서 전출을 희망하는 경우 가장 큰 이유는 주택의 노후 및 관리상태(23.1%)로 조사됐다. 이어 부모·자녀·지인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20.9%), 직장·통근(14.3%), 주차장·공용공간·보안 등 시설(9.9%)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김동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