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 = 김재훈 기자] |
9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1기 신도시 재정비' 관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3.8%가 '거주 아파트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신도시별로는 중동 88.6%, 산본 86.7%, 일산 84.1%, 평촌 83.8%, 분당 80.4%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설문 조사는 지난 3~4월 분당·평촌·산본·일산·중동 등 1기 신도시 주민 500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선호하는 재정비 사업 방식은 재건축(48.4%)이 리모델링(35.1%)과 유지보수·관리(16.5%)보다 높게 나왔다. 다만 신도시별로 가장 선호하는 사업 방식은 달랐다. 일산·분당·평촌은 재건축(46.3%·51.9%·67.7%)을, 산본·중동은 리모델링(44.6%·43.5%)을 더욱 선호했다.
시행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5년 이내가 적절하다'고 답한 이들이 62.8%로 가장 많았다. 사업비 부담 의향에는 72.8%가 동의했다. 추가 부담금은 평균 1억28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었다.
재건축 시 용적률로는 300% 이하가 47.8%, 층수는 21~30층이 56.2%로 가장 많이 나왔다. 단지 간 통합 정비(80.3%) 및 정부의 지원(86.7%), 순환형 개발과 재건축 시기 조정 등 주거 안정 대책(80.8%)에도 대부분 동의하고 있었다.
한편, 현재 거주 중인 세대 내 환경에 대해서는 80.6%가 불만족스러원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주차장(64.2%)과 상하수도 부식(55.0%)이 불만 요소로 가장 많이 꼽았다. 거주 단지의 만족도 역시 26.0%에 불과 했다. 이유로는 소
장윤배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저성장,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전환을 반영하고 인구 감소에 대비한 '스마트 축소 개발', 역세권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복합 용도 개발'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