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남구 준공 10년 초과 아파트 비율 |
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시 강남구의 10년 초과 노후 아파트는 전체 공급 물량의 약 80.0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신사동과 압구정동에는 5년 이하 새 아파트가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곡동(96.6%)과 청담동(92.0%), 삼성동(88.5%) 등 강남 주요 지역에서 아파트 노후화 비율이 두드러졌다.
실제 서울 강남에서는 최근 몇 년간 신규 아파트 공급이 저조했다. 지난 몇 년 간 신규 아파트 공급이 저조했다. 최근 5년 동안 강남구 아파트 분양 물량을 살펴 보면 2017년 2296가구, 2018년 2095가구, 2019년 2180가구, 2020년 1만 566가구, 2021년 0가구 등이다. 올해 분양했거나 분양을 앞둔 물량도 855가구에 그친다.
오피스텔 등 주거 대체 상품은 아파트 공급 부족을 메우는 상황이다. 아파트 공급이 전혀 없었던 지난해의 경우 강남에서는 총 1095실의 오피스텔이 분양을 완료했다. 역삼동의 '시티프라디움 더 강남 2차', 삼성동의 '삼성동 위레벤646' 등 도시형생활주택도 각각 10.02대 1, 28.9대 1로 두 자릿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노후 아파트가 많은 강남에 고급 특화 설계 또는 커뮤니티 시설 등을 갖춘 주거용 오피스텔이 속속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이를 눈여겨보는 수요자들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특히 노후 아파트에서 겪을 수 있는 주차공간 등 불편함을 이유로 젊은 수요자들은 새 주거 상품을 선호해 이 같은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도 서울 강남에 신규 주거 대체 상품이 분양을 준비중이다. 현대건설은 6월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일원에서 주거용 오피스텔 '힐스테이트 삼성'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7층~지상 17층, 전용면적 50~84㎡ 총 165실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는 전 호실이 주거용 평면으로 구성되고, 100% 자주식 주차 설계가 적용돼 입주민들의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더블유건설도 이달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일원에 '폴스타인 논현'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5층~지상 19층, 오피스텔 전용면적 37~142㎡ 총 99실 및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강남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언주로를 통해 테헤란로 및 도산대로·학동로·도곡로 등 강남 주요대로 이용이 쉽고, 봉은사로 이용 시 강남역·삼성역 등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일원에서는 '더 갤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