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부실채권 비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로 실제 부실채권 규모가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결과로 풀이된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0.45%로 작년 4분기 말보다 0.05%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동월 말과 대비해도 0.17%포인트 줄었다.
은행권은 대출채권을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5개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 여신부터 그 이하 여신(고정이하여신)을 부실채권으로 분류한다.
지난 3월 말 기준 부실 채권은 10조8000억원으로 작년 4분기 말 대비 1조원이 감소했다.
기업 여신이 9조2000억원으로 전체 부실 채권의 84.9%를 차지했고 가계 여신이 5000억원, 신용카드 채권이 1000억원 순이었다.
올해 1분기 중 신규 발생한 부실 채권은 1조8000억원으로 작년 4분기보다 8000억원 감소했다.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2조8000억원으로 1000억원 늘었다.
지난 3월 말 기준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81.6%로 작년 4분기 말보다 15.7%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동월 말과 대비하면 44.3%포인트 개선된 수치다.
금감원은 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가 작년 4분기 말보다 개선되면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실채권 비율이 지속해서 하락하고 부실에 대비하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상승하는 추세다.
다만, 금감원은 "시장금리 급등,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내외 경제 여건이 악화되고 있으며 만기 연장·상환 유예 등 각종 금융 지원 조치가 추후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부실이 확대될
[김혜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