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Y한영이 9일 발표한 'EY 2022 CEO Outlook Survey'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M&A 시장에선 총 5359건의 거래가 성사됐다. 거래 금액은 5조 4452억 달러(약 6777조원)에 달했다. 국내 M&A 시장도 활황이었다. 직전년도 대비 21% 상승한 약 477억 달러(약 59조원)를 돌파해 역대 최대 호황을 나타냈다.
'EY 2022 CEO Outlook Survey'는 전 세계 CEO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글로벌 M&A 현황 및 전망을 담은 보고서다.
M&A 시장의 열기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설문조사 결과, 국내 CEO 72%는 올해에도 M&A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49%였던 전년 대비 23%p 대폭 상승한 것이다. 지난 10년 간 집계된 동일 질문의 응답 가운데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또 글로벌 평균 응답인 59%나 아시아-태평양 지역 평균 응답인 54%에 비해 국내 CEO가 올해 M&A 추진에 훨씬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응답자의 절반 수준인 43%는 시장 점유율을 늘리기 위한 동종업계 소규모 M&A를 뜻하는 볼트온(bolt-on) 인수를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운영 역량 강화(36%), 기술, 인재, 신규 생산 역량 인수 또는 스타트업 인수(9%)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응답자는 향후 인수 대상 상위 5개 국가로 대한민국(32%), 중국(25%), 독일(14%), 미국(12%), 인도(8%)를 지목했다, 국내 기업 중 제조, 금융 서비스, 자동차·운송 산업에 속한 기업이 올해 가장 활발하게 M&A 활동을 펼칠 것이라 응답했다.
따라서 국내 M&A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M&A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에 국내 응답자는 △적대적, 경쟁적 입찰의 증가(26%), △크로스섹터(이종산업 간 거래) 증가(25%), △사모펀드(PE) 주도의 인수 증가(18%), △규제 또는 정부 개입 증가(17%),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 증가(14%) 등을 꼽았다.
최재원 EY한영 EY-파르테논 부문장은 "지난해 국내외 M&A 시장이 최대 호황을 누린 가운데 올해 기업들은 최근 인수한 자산을 통합하는 데 주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